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미·사우디 관계 꼬이나…사우디는 미국인 중형, 美 정부는 "사업확장 자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19 12:36
COMBO-FILES-SAUDI-US-OIL-OPEC

▲(좌)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우)조 바이든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70년 넘게 유지됐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동맹관계가 갈수록 꼬이고 있는 모양새다. 이달 OPEC+(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 산유국들의 감산 결정으로 미국 정부가 사우디와 관계 재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기업들에게 사우디에서 사업 확장 자제 권고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우디 정부는 자국을 비판한 이유로 구금한 미국인에게 중형을 선고했다.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사우디는 지난 3일 트윗을 통해 자국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기소한 사우디계 미국 시민권자인 사드 이브라힘 알마디(72)에게 징역 16년 형을 선고하고 이후 16년 동안에도 해외여행을 금지했다. 알마디가 선고대로 복역하면 88세에 출소하며, 미국으로 돌아가려면 104세가 되어야 한다.

알마디는 작년 11월 가족 방문차 사우디 리야드를 찾았다가 공항에서 바로 체포됐다. 그가 체포된 이유는 지난 7년여간 미국에서 게시한 14개의 트윗이었다.

이런 사실은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다가 2주 전 선고공판까지 끝난 뒤에야 미국에 사는 그의 아들을 통해 알려지게 됐다.

트윗에는 2018년 사우디 정부에 의해 암살된 반체제 언론인 카슈끄지에 대한 내용과 사우디 정책과 부패를 비판한 내용 등이 포함돼 있다.

사우디 정부는 알마디가 테러리스트 사상을 가지고 자국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테러를 지원하며 자금을 댔다고 주장하면서 그를 기소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사우디가 미국의 동맹으로 여겨지고 있음에도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하의 사우디는 미국인 비판자들을 전보다 더 가혹하게 다루고 있다"며 "알마디는 반체제 인사나 활동가도 아니고 미국에서 표현의 자유를 주장했을 뿐"이라고 했다.

로이터통신은 "미 동맹이 미국 시민을 억류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보도했다.

이런 와중에 미국 정부가 기업에도 사우디에서 사업 확장 자제를 권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현직 정부 관계자들은 "이란에 대응해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를 단결시키는 중동 지역에서의 전략 목표를 약화하지 않으면서 사우디의 최근 행동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검토되는 옵션 중 하나"라고 말했다.

바이든 정부가 사우디와의 관계 재검토와 관련해 최종적으로 어떤 카드를 쓸지 결정하지 못한 가운데 기업 카드가 거론되는 셈이다.

바이든 정부는 또 ‘사막의 다보스 포럼’ 불리며 사우디 실권자인 빈살만 왕세자 관련 행사인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 콘퍼런스’에 미국 정부 대표를 보내지 않기로 했다.

트럼프 정부 때는 상무부 장관을 보냈으나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에는 상무부 부장관을 보냈다.

다만 이 결정은 바이든 대통령의 사우디와의 관계 재설정 검토 이전에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발표할 사항은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미국 기업이 사우디에 투자를 계속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미국 기업은 법적 제약이나 사업환경, 상대국의 정책 선택이 초래하는 평판에 대한 우려 등을 고려해 자체적으로 투자 결정 등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