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한 대형마트의 우유 판매대에서 소비자가 우유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
25일 업계에 따르면 원유(우유원료)·유제품 수급·가격 조절기관인 유제품낙농진흥회의 소위원회는 올해 원유가격을 책정을 위한 회의를 지난 20일 시작해 오는 10월 15일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 회의는 통상 매년 6월께 시작돼 8월 1일부터 새 가격이 적용돼 왔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가격 책정 방식을 기존 ‘생산비 연동제’에서 ‘용도별 차등가격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놓고 낙농가와 유업체간의 입장 차가 커 지난 20일까지 협상이 시작되지 못했다.
당초 차등가격제에 반대하던 낙농업계는 정부의 설득 끝에 최근 개편안을 수용해 정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차등가격제를 시행하기 위해 실무 작업을 진행 중이다.
새로 도입되는 용도별 차등가격제는 원유를 음용유(마시는 우유)와 가공유(치즈, 버터 등의 생산에 쓰이는 우유)로 구분하고 음용유의 가격은 현 수준을 유지하되, 가공유의 가격을 더 낮게 책정하는 방식이다.
다만 새 제도 시행까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올해까지는 기존 생산비 연동제를 적용하되 국제 곡물가격 급등 등 낙농가의 사료비 부담이 커졌고 내년 차등가격제 도입에 따른 낙농가의 소득감소 방어를 위해 음용유 가격이 대폭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 생산비 연동제 규칙에 따르면 생산비 연동제는 최근 1년(혹은 2년)간 생산비 증감분의 ±10% 범위에서 원유 가격을 정한다. 앞서 지난 2020년과 지난해 원유 생산비가 리터(ℓ)당 52원 오른 점을 감안해 원유 가격 협상 폭은 ℓ당 47∼58원인 셈이다.
원유 가격이 52원 상승한다면 연내 우유 소비자 가격은 ℓ당 최대 500원까지 뛸 것으로 업계는 내다본다. 그동안 낙농가에서 국제 곡물 가격 인상 등에 따른 사료비 폭등으로 원유값 조정을 요구한 점을 감안한 추산치다.
23일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축산유통정보 기준 전국 우유 소비자 가격 평균은 ℓ당 2765원이다. 올해 중에 우유 1ℓ 가격이 3000원을 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또한 우유를 원료로 만들어지는 과자와 빵, 아이스크림 등 식품 가격이 동반 상승하는 ‘밀크플레이션’이 현실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생산비 연동제에 따라 결정될 새 가격의 소급적용 여부도 최종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낙농가는 다음달 15일 새 가격을 정하더라도 올해 8월 1일 이후 원유 공급분에 대해 인상된 가격을 적용할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유업계가 이를 수용하면 구매 비용이 증가하게 돼 소비자가격 인상 압박은 더 커진다.
낙농가와 유업계는 이미 협상일정이 예년보다 크게 늦어진 만큼 최대한 서둘러 모든 논의를 다음달 15일까지 마치기로 합의한 상태이다. 그러나 업계는 세부 사항에 대해 양측의 입장차이가 뚜렷하기 때문에 언제든 합의가 언제든 지연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