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기자의 눈] 정부의 반쪽짜리 '배추가격 낙관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25 18:00
조하니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배추값 급등으로 포장김치 가격마저 오르자 할 수 없이 ‘김치 아껴먹기’에 돌입했다. 이른바 MZ세대로서 직접 김치를 담가 먹는 건 언감생심(焉敢生心)이라 비교적 저렴한 포장김치이라도 마트나 편의점서 구입했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은 이유에서다.

이런 사정은 나 개인뿐 아니라 식당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지인인 수십 년째 식당을 경영해 오고 있는 지인도 "음식장사한 지 처음으로 김치 내놓기가 부담스럽다"고 하소연할 정도였다.

포장김치를 만드는 식품업계의 속도 타들어가긴 매한가지다. 최근 배추 가격 상승세를 취재하면서 만난 한 포장김치업체 관계자는 "재료마다 안 오르는 게 없다"고 푸념을 내뱉었다. 주재료인 배추가 한 포기 당 1만원선을 돌파하면서 여론의 관심에서 벗어났지만, 무·고추 등 다른 김치 원료도 평년보다 큰 폭으로 뛰었기 때문이다.

배추대란에 정부는 김장철 대비 배추 물량을 조기 출하하고, 수출용 포장김치의 배추원물 수입도 앞당긴다는 대책을 지난주 내놓았다. 김치업계는 기대반 우려반 반응이었다. 공급 확대를 환영하면서도 지난 추석명절 전후로 배추를 두차례 총 1만1300톤 풀었지만 가격 상승을 붙잡지 못한 탓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이달 말 준고랭지 배추, 11월 초 가을배추가 본격 출하되면 배추 가격이 평년 수준으로 안정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펼쳤다. 가을 기상 상태가 양호한데다 산지 작황은 부진하지만 재배면적이 많아져 배추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에서다.

문제는 정부의 농산물 대책이 ‘공급 중심의 가격 내리기’에 치중돼 있다는 점이다. 물량 수급도 중요하지만, 전반적인 고물가 추세로 농가와 산지, 김치업체가 맞닿뜨린 공급 외적 경영악화 요소를 외면하거나 뒷전으로 치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즉, 배추 수급만으로 가격 안정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으로, 배추 재배·운송·보관 등 물류비와 인건비 등 전체 제조비용의 상승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1월 김장철을 앞두고 김치 재료와 완제품의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정부의 좀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대책이 나와 서민과 식당의 식탁에서 김치가 사라지는 사태를 막아주길 바란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