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모란민속5일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는 모습. 사진=연합 |
5일 통계청에 따르면 8월 먹거리 물가는 113.57로 전년 동월(104.80)대비 8.4% 상승했다. 지난 2009년 4월(8.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역대 최고치다. 먹거리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식료품·비주류음료·음식서비스부문을 지수와 가중치를 고려해 계산한 값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상승률은 8.0%로 지난해 2월(9.3%) 이후 최고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호박(83.2%), 배추(78.0%), 오이(69.2%) 무(56.1%) 등 채소류가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외식 품목으로 이뤄진 음식서비스는 전년 보다 8.8% 오르며 1992년 10월(8.9%) 이후 최고 수준을 보였다. 음식서비스에서는 갈비탕(13.0%), 자장면(12.3%), 김밥(12.2%), 해장국(12.1%), 햄버거(11.6%) 등이 크게 올랐다.
이 같은 먹거리 물가 상승세는 서민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먹거리 관련 지출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식료품·비주류음료 구매 비용은 24만796원, 외식에 지출한 금액은 14만442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월평균 가처분소득(90만9968원) 대비 지출 비중으로 따져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6.4%, 식사비가 15.4%로 먹거리 관련 지출 비중만 7%에 이른다. 소득별로 △2분위 가구 24.6% △3분위 가구 21.7% △4분위 18.9% △5분위 14.0%로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추석 이후 라면 등 가공식품뿐 아니라 공공요금 인상도 예고돼 서민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농심은 오는 15일부터 라면의 출고 가격을 평균 11.3% 올리고, 스낵 주요 제품의 가격도 5.7% 인상하기로 했다. 또, 서울시는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내년 2월 중 4800원으로 현행 대비 1000원 올릴 계획이며, 다음 달에는 전기요금과 도시가스 요금 모두 인상될 예정이다.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