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약의 랜섬웨어 알림창 |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백신 프로그램 '알약'이 정상 프로그램을 랜섬웨어로 잘못 인식해 관련 피해가 잇따르면서 해결 방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0일 이스트시큐리티는 "금일 오전 11시 30분 업데이트된 알약 공개용에서 랜섬웨어 탐지 오류가 발생하여 현재 정확한 원인 분석 및 긴급 대응 중에 있다"고 공지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피해 사례 관련 게시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부팅도 안되고 이상하다"며 "에러로 윈도우 이상증상 나온다"고 했다.
이에 해결 방법에 관심 집중되고 있는데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알약 백신에서 랜섬웨어 차단 알림창이 나올 경우 '신고하기' 버튼을 누르지 말라고 한다.
만약 신고하기를 눌렀을 경우 알약을 삭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제기됐다. 이번 오류의 증상 중 하나가 부팅이 안되는 현상인 만큼 온라인상에선 안전모드를 통해 알약을 제거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 네티즌(pys1****)은 "알약 삭제하면 됩니다. 컴퓨터 재부팅할때 암호 걸려있으시면 아래 다시 시작 있는데 시프트키 누른 상태에서 다시하기 누르면 안전모드 들어갈수 있도록 가능한 메뉴 나옵니다. 방금 해결했네요"라고 올렸다.
부팅이 안되는 상황에서 안전모드 진입 방법은 부팅시 F8키를 누르거나 부팅 중 컴퓨터 전원을 껐다가 다시 키는 작업을 3번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