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9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2021 에너지산업 결산 | 가스업계] 수급불안·도입경쟁 과열 속 '수소사업' 확대 희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12.29 14:46

연초부터 LNG 수급 빨간불·가스가격 고공행진 등 악재



LPG업계도 고전…LNG 인프라 투자·수소사업 활성화 기대

1111

▲광양 포스코 LNG 생산기지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가스업계는 올 연초부터 이상기후에 따른 한파 등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급에 빨간불이 켜지는 등 심상 찮은 출발을 보였다. 코로나19 팬데믹에 글로벌 천연가스 생산·공급 감축까지 겹쳐지며 LNG 수급에 차질 빚었다.

반면 한국가스공사 당진LNG기지 사업이 닻을 올리고 민간사·발전사 등에서 LNG 인프라 확대에 적극 나서는 한편,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 아래 민간 에너지기업들이 수십 조 원에 이르는 수소사업 투자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 1월 아시아 지역 LNG 가격이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보다 더 높은 수준을 기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아시아 시장에서 LNG 현물가격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상승한 30달러/MMBtu를 넘어섰다. 일부 카고의 경우 40달러/MMBtu에 근접한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가격 급등은 수급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평년 대비 낮은 기온 때문에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지난 1월 초까지 동북아시아 LNG 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20% 가량 증가했다. 일본의 낮은 원전 재가동률과 우리나라의 석탄화력 출력제한 등으로 가스 수요 상승을 더욱 촉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동절기 이상 한파 등으로 천연가스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정부는 천연가스 수급관리 고삐를 바짝 죄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9월 가스도매사업자(가스공사)가 비축해야 하는 천연가스의 양을 해당절기 하루 평균 내수판매량의 7일분에서 9일분으로 상향했다. 또 가스공사는 LNG 불용재고를 제외한 실제 가용할 수 있는 물량을 기준으로 비축의무량을 산정, 비축하도록 했다. 민간사 등 LNG 직수입자에게도 천연가스 수급에 대한 비상 위기 시 산업부가 직수입자에게 수급조정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

가스 수입에 대한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경쟁은 더욱 뜨거워졌다.

가스공사가 주도하는 발전용 천연가스 개별요금제가 연이은 계약 성사로 성과를 얻었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시작으로 올해 내포그린에너지, 한주발전, CGN율촌전력 등 여러 사업자들과 잇따라 공급계약을 맺으며 공사가 공급하는 개별요금제를 확대했다. 계약체결이 성사된 개별요금제 물량 규모는 연간 180만 톤 수준이다.

직수입사업자의 공세도 만만찮다. 전체 산업용 가스 소비에서 LNG 직수입 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10.0% 수준에서 2020년 31.5%, 2025년 40%를 초과할 것으로 기대된다.

액화석유가스(LPG) 업계의 고전은 올해도 지속됐다.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유류세 인하조치를 단행했지만, 유종별 정률로 동일하게 유류세가 인하돼 LPG가격은 오히려 적게 인하되는 역차별이 발생해 사업자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기대를 모았던 LPG 셀프충전 허용 법안의 국회통과는 올해도 무산됐다.

내년에는 환경부 LPG차량 보조금 지원예산이 현행 절반 수준인 200만 원으로 삭감되고, 지원 규모도 2만5000대에서 대폭 줄어들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고심은 깊어만 가고 있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관의 노력은 올해도 이어졌다.

정부는 지난달 ‘청정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지난 2월 수소법 시행 이후 정부가 발표한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발표를 통해 정부는 △그린·블루수소 생산·도입 △수소 유통인프라 확충 △수소발전·모빌리티·수소산업공정 확산 △수소 클러스터·도시·규제특구 육성 △수소안전·기술개발·국제협력 등 15개 과제 추진계획을 밝혔다.

2050년 연간 2790만 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고,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 기술·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으로 청정수소 자급률도 60%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가스공사는 2030 수소사업 계획 및 비전 발표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총 사업비 3조3140억 원을 투입해 83만5000톤 규모의 수소생산 인프라를 갖추고 전국에 총 152개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키로 했다.

현대차·SK·포스코 등 15개 기업들은 지난 9월 한국판 수소위원회인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을 출범시키며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기도 했다. 투자규모는 SK 18조5000억 원, 현대차 11조1000억 원, 포스코 10조 원, 한화 1조3000억 원, 효성 1조2000억 원, 중소·중견기업 약 1조 등 수십 조 원에 달한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