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지코인 시총 50조원 돌파…1년 전보다 18000%↑
![]() |
▲(왼쪽부터)KAIST 생명화학공학과 자패르 야부즈 교수, 송영동 박사과정(1저자), 스리랑카파 라메쉬 박사(3저자) |
[에너지경제신문 최윤지 기자] 카이스트(KAIST) 생명화학공학과 자패르 야부즈 교수 연구팀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수소 생산성을 높일 촉매를 개발했다.
카이스트는 장시간 사용해도 코킹과 소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메탄의 건식 개질 반응 촉매연구가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14일 자에 게재됐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의 기술은 온실가스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이용해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 지구온난화 해결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개발된 촉매는 비활성화 없이 안정적으로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어 수소 생산성 향상과 합성가스 생산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카이스트 관계자는 설명했다.
야부즈 교수 연구팀은 단결정 마그네슘 산화물의 꼭짓점에서 탄소가 자라는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막기 위해 니켈 기반의 니켈-몰리브데넘 합금 나노입자를 올리는 방법을 설계했다. 이러한 기술은 향후 다른 개질 반응과 기존의 수소 생산반응인 메탄의 습식 개질 반응에도 직접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메탄의 건식 개질 반응은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감축하면서도 화학산업의 기반이 되는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반응이 진행될수록 촉매의 표면에 탄소가 쌓여 반응성을 낮추는 코킹 현상과 나노입자가 서로 뭉치게 되는 소결현상 때문에 실제 산업에서 적용에 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니켈-몰리브데넘 합금 나노입자를 단결정의 마그네슘 산화물 지지체에 담지했다. 이렇게 제조된 니켈-몰리브데넘 합금 나노입자 촉매는 800℃로 온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단결정 지지체의 꼭짓점을 막아 안정되는 현상을 보였다.
< 저작권자 ⓒ 에너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민국 경제의 힘, 에너지경제>
실시간 Live
도지코인 시총 50조원 돌파…1년 전보다 18000%↑
실적 개선·경제 지표 개선 기대…다우·S&P 사상 최고치 기록
한·중·일, 美 환율 관찰대상국 명단에…환율조작국은 없어져
17일 비트코인 7900만원대·이더리움 310만원대 거래
자동차용 반도체 부족에 그랜저·트레일블레이저 등 생산 차질
진격의 알트코인?...지난 한 주 수익률 높았던 코인은 도지코인·비체인코인
카카오뱅크 이르면 7월 상장…IPO 신기록 갈아치울까
당국, ‘가상화폐 해외송금’ 가이드라인 검토...은행들 ‘철저관리’ 요청
빅블러 시대…네이버·토스 등 '적'과 동맹 잇는 은행들
"'정부펀드 관리' 한국벤처투자, 출자심의 제멋대로"
정부 낙점 8월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 기업은?
국내 제약사 "코로나19 치료제 개발해도 임상 쉽지 않아"
내일부터 '버팀목자금 플러스' 2차 지급…소상공인 51만명 대상
[신간도서] OTT 플랫폼 대전쟁
[신간도서] 월급쟁이 초보 주식투자 1일 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