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 부과 공급망 재편으로 주요 자동차 회사의 수익성이 낮아지고 비용 부담은 늘어났다. 현대차그룹은 뛰어난 사업·재무 역량을 바탕으로 관세 부담을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신용평가사들은 전망했다. 다만 당분간 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연합뉴스
2분기 현대차·기아 관세 부담만 1조5000원…한국만 25% 관세 부담 중
29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미국발 관세 부담이 본격화하면서 주요 자동차 회사는 비용 부담이 늘어났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2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각각 8282억원, 7860억원의 관세 부담이 실적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제네럴모터스(GM)와 포드도 각각 1조5000억원(11억달러), 1조1000억원(8억달러)을 관세 부과에 따른 추가 비용으로 부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실적 악화도 본격화했다. 김영훈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지난 2분기 관세로 인해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률이 10.3%에서 8.2%로 떨어졌다"며 “우호적인 환율 환경과 친환경 차 판매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체 매출의 40%에 달하는 미국시장 관세 부과로 이익 창출력이 약화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자국 내에서 자동차 생산을 늘리고 자동차 부문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25%를 부과했다. 지난 7월부터 이어진 관세 협상에 따라, 미국은 일본과 유럽산 자동차에 대해 관세를 15%로 낮췄지만,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25%를 적용하고 있다. 주요국 중 한국만 고율 관세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며, 자동차 관세 인하가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한국보다 미국 기업이 관세 타격 더 커…“현대차·기아 감내 가능한 수준"
자동차 관세는 현대차·기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모든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공통으로 직면한 사안이다.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낮은 한국 기업이 관세 충격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높은 포드 등의 실적이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자동차 업체 실적 변동 추이/출처=한국신용평가
주요 자동차 업체의 실적 변동 추이를 보면, 현대차·기아는 영업이익률이 작년 2분기 10.9%에서 올해 2분기 8.2%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제네럴모터스는 9.3%에서 6.4%, 포드는 3.9%에서 1.0%로 실적 감소 폭이 컸고, 스텔란티스는 7.8%에서 -3.6%로 적자 전환했다.
김영훈 연구원은 “GM, 포드, 스텔란티스의 실적 저하는 아직 25% 관세를 부과받는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고, 미국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품목 관세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경쟁업체에 견줘 실적 하락 폭이 작은 현대차·기아는 관세 부담을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신용평가 3사는 전망했다.
김경률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수익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가격 인상 또는 점유율 확대 등 전략 선택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 전략을 유연하게 운영하며 수익성과 점유율 간 균형을 조정해 나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주요 자동차 회사는 관세 부담에 대응해 미국 현지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관세 부담과 설비투자 확대로 주요 자동차 회사의 차입 확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현대차그룹은 높은 재무안정성을 바탕으로 투자부담 대응능력이 뛰어난 편이다.

▲주요 자동차 회사 재무안정성 및 차입금 대응력 비교/출처=나이스신용평가
홍세진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재무안정성 지표를 보면, 도요타, 현대차그룹, 폭스바겐, 제네럴모터스 순으로 부채 비율이 낮다"며 “현대차그룹과 도요타의 재무 역량은 동종 업계 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양사는 폭스바겐이나 제네럴모터스 대비 투자 확대에 따른 재무안정성 저하와 차입 부담 증가 폭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