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FP/연합)
세계 2위 규모의 구리 광산에서 사고가 발생하면서 글로벌 구리 시장의 공급 차질 우려가 확산하자 국제 구리 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란은 인도네시아 그라스버그 광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불가항력을 선언했다. 불가항력은 전쟁이나 재난 등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 계약자가 의무를 면할 수 있는 조치를 의미한다.
앞서 지난 8일 80만톤에 달하는 진흙더미가 그라스버그 광산을 덮치면서 최소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실종됐다. 구조 작업은 3주째 이어지고 있다.
프리포트 맥모란은 이번 사고로 단기적으로 상당한 생산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2027년에나 이전 운영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네시아 그라스버그 광산은 글로벌 구리 공급의 3% 가량을 차지하는 세계 2위 광산이다. 프리포트 맥모란 전체 구리 생산 중 30%가 그라스버그 광산에서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BMI)의 알버트 매켄지는 “그라스버그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구리 광산 중 하나"라며 “이 정도 규모의 공급 차질은 글로벌 시장에 상당한 파급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뉴욕 증시에서 프리포트 맥모란 주가는 17% 급락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됐던 2020년 3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또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3개월물 구리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3.6% 급등한 톤당 1만336.5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연중 최고치이자 2024년 5월에 기록된 역대 신고가인 1만1104달러에 근접한 수치다.
나티시스의 버나드 다다 애널리스트는 “프리포트 맥모란 역사상 이같은 규모의 사고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청정에너지 전환, 인공지능(AI) 붐 등으로 구리 수요가 앞으로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공급 차질이 이어지고 있는 점이다.
앞서 지난 5월 콩고민주공화국 카모아-카쿨라 광산에 홍수 피해가 발생했다. 칠레의 경우 지난 7월 엘테니엔테 광산에서는 터널 붕괴로 6명이 숨지면서 생산 차질이 이어지고 있다. 칠레 구리공사(코델코)는 엘테니엔테 광산 사고 여파로 올해 생산량이 기존 예상보다 약 11% 줄어든 30만t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우드 매켄지의 찰스 쿠퍼 구리 리서치 총괄은 이들 세 광산의 생산 차질로 올해 글로벌 구리 생산의 6%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어 “세계 최대 규모의 구리 광산 3곳이 가동을 멈추면 이미 빠듯한 공급에 큰 압박이 가해진다"며 “현재 구리 가격이 이같은 사고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핵심 구리 생산국인 페루에서는 소규모광업연맹이 도로 곳곳을 점거하는 시위가 장기화하자 광산 기업 허드베이 미네랄스는 페루에서 광산 운영을 일시 중단한다고 전날 발표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25일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그라스버그 광산 사고를 반영해 올 하반기와 내년 구리 생산량 전망치를 각각 16만톤, 20만톤 하향 조정했다. 또 올해 구리 시장이 당초 10만5000톤 공급 과잉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히려 5만5500톤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을 바꿨다.
그러면서 올해말 가격 전망치를 기존 톤당 9700달러에서 1만200~1만500달러 수준으로 상향 조정했다.
BMO 캐피탈 마켓의 헬렌 아모스 애널리스트는 “구리 공급 수급이 이미 빡빡한 와중에 사고가 겹쳤다"며 “다른 요인이 동일하다면 구리 시장은 이전보다 더 높은 가격 체제로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