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화성 향남제약공단 전경. 사진=한국제약협동조합
국내 제약업계가 전반적인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외형을 확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19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제약기업 매출액은 8조6601억원으로 전년동기 7조9577억원 대비 약 8.8% 성장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매출이 올 1분기 2조770억원으로 같은 기간 23% 가까이 증가했고, 중견기업은 5조7723억원 매출을 올려 4.9% 신장률을 보였다. 8108억원으로 집계된 중소기업 매출은 이 기간 6.0% 늘었다.
대기업 매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인 가운데, 중견·중소기업도 모두 매출이 늘며 업계 전반에서 매출이 성장한 결과를 가져왔다.
양극화 현상은 기업 규모별 영업이익(손실) 증감률에서 크게 드러난다. 전체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5796억원에서 올 1분기 9382억원으로 61.9% 늘며 업계는 한 해 사이 내실을 견고히 다진 듯 보인다.
실제로 대기업 영업이익은 올 1분기 5966억원으로 전년동기 2583억원 대비 2배 이상(131%) 급증하며 수익성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중견기업 영업이익은 올 1분기 3864억원으로 전년동기 3710억원 대비 4.2% 성장에 그쳤고, 중소기업은 1분기 448억원 영업손실로 연간 적자를 이어갔다. 업계의 60%대 영업이익 고성장률은 대기업 중심의 호실적에서 비롯된 '평균의 함정'인 셈이다.
주요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에서 대기업은 올 1분기 28.7%로 전년동기 15.3% 대비 13.4%포인트(p) 성장한 반면, 중견기업은 같은 기간 6.7%를 유지했다. 중소기업은 -5.5%로 지난해 1분기 -6.5%보다 1.0%p 개선했지만 적자를 탈출하지는 못했다. 이 기간 업계 전체 매출액영업이익율은 3.5%p(7.3%→10.8%) 커졌다.
또 다른 지표인 '매출액세전순이익률'도 업계 전체는 3.7%p 증가한 가운데, 대기업은 연간 14.3%p 증가했고 중견기업은 오히려 0.8%p 감소했다. 중소기업은 4.7%p 개선한 -3.3%로 적자를 지속했다.
업계는 이 같은 업계 내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고 중소제약사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원료의약품 약가정책을 개선하는 등의 중소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1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5 1/4분기 '기업경영분석' 내 매출액·영업이익 지표. 표=한국보건산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