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주성

wn107@ekn.kr

박주성기자 기사모음




K제약바이오 기술수출, 벌써 지난해 수준 넘어…‘빅파마 파트너’ 굳히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9 18:15

韓 의약품 글로벌 기술이전, 전년比 113%↑

빅파마 계약도 180% 급증…“신뢰할 파트너”

‘제네릭 생산국’서 ‘新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한국바이오협회

▲지난 6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BIO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5(BIO USA 2025)' 한국관 전경. 사진=한국바이오협회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기술수출 거래액을 전년대비 2배 이상 끌어올리며 글로벌 빅파마의 '신약개발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 생물보안법 등 여파로 최대 제약바이오 기술수출국인 중국의 미국 진출에 난항이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 업계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구축하기 위한 '골든 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분위기다.


19일 한국바이오협회가 영국 데이터분석업체 '글로벌데이터'의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인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올해 체결한 의약품 라이선스(기술수출) 계약의 거래 가치는 지난 12일 기준 76억8000만달러(약 10조6000억원)로 집계돼 전년동기대비 113% 증가했다.


특히 글로벌 빅파마(거대 제약사)와 체결한 우리 기업의 기술이전 계약 규모가 전년동기대비 180% 가량 급증한 것이 눈길을 끈다.


이러한 기술수출 성장 모멘텀은 일라이릴리와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등 글로벌 빅파마와 체결하는 계약이 조단위로 대형화됨에 따라 촉진됐다는 게 업계의 진단이다.




앞서 일라이릴리는 지난 2월 국내 RNA간섭(RNAi) 치료제 개발기업인 올릭스와 대사관련 지방간염(MASH) 신약 후보물질에 대해 6억3000만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에 합의했다. 이어 5월에는 국내 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와 13억달러 규모의 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외에도 GSK가 지난 4월 국내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의 혈액-뇌 장벽(BBB) 셔틀 플랫폼에 대해 28억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성사하며 우리 기술수출의 증가세에 힘을 보탰다.


업계는 과거 '제네릭(복제약) 생산국'에 그쳤던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위상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신약 후보물질 공급국가'로 변모하면서 글로벌 빅파마들 사이에 '신뢰할만한 신약개발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다.


오펠리아 찬 글로벌데이터 수석 애널리스트는 “한때 제네릭 의약품 생산으로 인정받았던 한국은 이제 정부 지원과 국제 투자 증가에 힘입어 새롭고 혁신적인 신약 발굴 및 첨단 의약품 기술의 글로벌 허브로 전환하고 있다"며 “한국이 서구와 아시아 시장 사이의 전략적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미-중간 긴장으로 중국 중심의 글로벌 신약개발 기술이전 생태계가 새롭게 재편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앞서 미국 상원은 지난달 말 중국 등 국가안보상 우려 기업의 미국시장 진출을 금지하는 생물보안법 법제화를 재추진하며 중국 기업 견제에 속도를 올린 바 있다.


일부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진행해 온 의약품 수입과 국가안보의 상관관계 조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만큼 한국 외에 아시아 국가들이 글로벌 빅파마의 투자 다각화의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인도, 태국 등 아시아 후발주자 국가들이 신약개발 지원과 규제완화에 적극 나서면서 우리나라의 '글로벌 빅파마 신약개발 파트너'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며 “향후 5년 정도가 우리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좌우할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