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무슨 말 했길래"…美 재무 한마디에 일본 엔화 환율 급락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4 16:24

베선트 재무장관 블룸버그TV 인터뷰

“일본은행 금융정책 뒤쳐져…美연준은 금리 150bp 내려야”

엔/달러 환율 하락세…日 닛케이 지수도 숨고르기

弱달러 원하는 트럼프…韓 원/달러 환율 주목

FILE PHOTO: ANALYSIS-Japan widens FX watch to include risk of yen spike as U.S. recession fears mount

▲일본 엔화(사진=로이터/연합)

미국 달러화 대비 일본 엔화 환율이 하락세(엔화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의 금융정책을 평가하는 이례적인 발언을 하면서다.


베선트 장관은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과 인터뷰에서 “그들(일본은행)의 금융정책이 뒤쳐져있다"며 “우에다 가즈오 일보은행 총재와 인플레이션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금리를 인상해 인플레이션 문제를 통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달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로 4회 연속 동결했다. 당시 기자회견에서 가즈오 총재는 다음 금리인상에 대한 구체적인 시점을 제시하지 않으면서 비둘기파적인 메시지를 던졌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베센트 장관의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 일본 금리인상 기대감에 일본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상승했고 엔화 환율 또한 하락세를 보였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4일 한국시간 오후 4시 20분 기준,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전장대비 0.67% 하락한 달러당 146.43엔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달 24일 이후 최저 수준이다.




엔화 강세 여파로 일본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지수는 전장 대비 1.45% 하락한 4만2649.26에 거래를 마감했다.


베선트 장관은 또 같은 인터뷰에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보다 최소 1.5%포인트 낮춰야 한다며 “9월부터 50bp(1bp=0.01%포인트)로 시작해 연속적인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 6월 성명을 내고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자국내 경제 펀더멘털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은행의 긴축정책은 지속돼야 한다"며 “이는 엔화 약세의 정상화를 뒷받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엔화 강세를 노골적으로 촉구하는 미국 정부의 이같은 입장은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약달러 선호 기조'와 일맥상통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엔화 약세를 유도해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그는 또 주요 교역국들의 환율 조작이 비관세 무역장벽에 해당된다고 수차례 강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쿠마노 히데오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베센트 장관은 미국과 일본 통화정책에 대한 발언을 통해 달러 약세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나라의 통화정책에 대한 견해를 내비침으로써 그는 규칙을 어겼고, 이로 인해 일본은행이 금리를 결정하기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SBI의 우에다 마리토 매니저는 “시장에서는 일본이 올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지 불확실하다고 봤었지만 미국으로 이같은 압박이 오면 일본은행은 금리를 인상해야 할 것"이라며 “늦어도 12월에 금리가 인상될 것이란 의견이 나오기 시작할 것이고 10월 인상론도 힘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일본 엔화를 시작으로 한국 원화를 포함해 다른 국가들의 통화들이 절상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내셔널 호주은행의 로드리고 카트릴 전략가는 “베센트 장관이 말하면 시장은 귀를 기울이는데 이제 그는 엔화 강세를 원한다"며 “최근 들어 시장은 달러화 약세를 바탕으로 하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날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트럼프 2기 달러 약세 시나리오 점검 및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무역적자 해소 및 제조업 부흥을 위해 고율 관세와 함께 달러 약세 유도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이 주요국 통화 절상을 요구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우리 수출입에 영향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원화 가치가 10% 상승하면 수출액은 0.25% 감소하고, 수입액은 1.31% 증가한다고 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