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요 국젱 의제가 반영된 감세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지난달 4일 시행됨에 따라 투자자들이 어떤 주식을 매수해야 할지 관심이 쏠린다. 천문학적인 재정적자라는 후폭풍이 예고되지만 감세 혜택, 국방 지출 확대, 특정 산업 대상 인센티브 등은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 훈풍으로 작용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12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앤더슨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피터 앤더슨 창립자는 OBBBA를 두고 “경기부양책에서 재정정책으로 이동하는 전환점"이라며 “경기부양을 위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로금리 정책과 채권 매입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정부 주도 지출로 전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OBBBA 중 인프라가 가장 크게 관심을 끄는 분야라며 여기엔 방화벽과 데이터 보안 등도 해당된다고 덧붙였다. 법안에는 드론 시스템, 군사 인프라, 인공지능 등 개발을 위해 국방부 예산 1500억달러가 배정됐다.
그러면서 “사이보보안은 새로운 국가 권력의 최전선이 될 것"이라며 팔로알토 네트웍스, 사이버아크 등 사이버보안 관련주에 이어 산업장비 임대 전문업체 유나이티드렌털 등이 그가 운용하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다른 전문가들도 인프라 투자와 관련된 주식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RBC 자산운용의 탓 와이 토 포트폴리오 전략 총괄은 “OBBBA가 새로운 재정 슈퍼사이클"이라며 “인프라를 새로 도색하는 작업이 아닌, AI, 국방, 물류, 전기화를 핵심으로 하는 산업 정책의 재구성"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RBC는 중전기, 인프라, 유전 서비스, 국방 등의 섹터를 비중확대 하고 있다"며 “은행 또한 대출수요 증가로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버크레스트 자산운용의 로버트 티터 최고투자전략가는 산업 및 에너지 인프라 분야가 이 법안의 즉각적인 수혜자라고 CNBC에 말했다.
반대 의견도 있다. 헤지펀드 CL 윌러드 캐피탈 파트너스의 코디 윌라드 대표는 감세법안 자체만으로 증시 상승에 대한 촉매제가 될 수 없다며 “미국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지출과 인프라 개선 약속의 연속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스프로트 자산운용의 폴 웡 시장 전략가도 “트럼프 행정부는 대규모 적자와 저금리로 운영하려는 의도"라며 “이는 통화정책이 재무부의 자금 조달 수요에 종속되는 상황인 재정우위로 몰아넣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마이너스 실질 금리, 구조적인 달러 약세, 실물 자산으로의 전환 등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며 “달러 약세로 만기가 긴 장기채가 가장 큰 리스크에 처해 있고 장기적인 승자는 실물 자산"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스프로트 자산운용의 포트폴리오는 금과 은 등 귀금속 분야에서 “잘 포지셔닝되어 있다"며 현재 시장 환경에서 귀금속이 좋은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회사는 또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우라늄, 구리, 희토류 등도 담았다고 CNBC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