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매출 증가'…의류·문화·레저 소비 폭발, 지역경제 회복 신호탄

▲사진=경주시청 전경
경주=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 기자 경주시가 지난달부터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소비 심리 회복에 실질적인 효과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와 경기침체로 위축된 지역경제가 숨통을 트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경주시는 7월 7일부터 소비쿠폰을 지급해 지역 소상공인 업종의 매출 회복을 꾀했다.
전체 대상자 24만2766명 중 93.7%인 22만7578명이 혜택을 받았으며, 총 445억 원이 투입됐다. 예산액 478억 원의 93%가 실제 집행됐다.
경주페이 결제 자료 분석 결과, 지급 전후(7월 7~18일 / 7월 21일~8월 1일) 소상공인 업종 평균 매출은 68억4500만 원에서 115억200만 원으로 약 68% 증가했다.
특히 의류업은 221%, 신변잡화 172%, 레저·문화 업종은 154% 매출이 늘어 비필수 소비재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주요 사용처는 일반·휴게음식점(37%), 유통업(17%), 학원(9%), 주유·충전소(8%) 순이었다.
중심상권에서 의류점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쿠폰 지급 후 매장 방문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며 “예전처럼 옷을 한 번에 2~3벌씩 구매하는 손님도 돌아왔다"고 말했다.
레저업계 관계자는 “휴가철 특수와 쿠폰이 겹치면서 예약률이 급증했다"며 “침체됐던 업종에 다시 활기가 돌고 있다"고 전했다.
시는 이번 정책이 경기침체로 위축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소상공인 매출을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업종별 매출 증가폭의 편차가 커 특정 업종으로 소비가 몰리는 현상을 완화하는 것이 과제로 남았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거뒀다"며 “앞으로도 시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을 지속 발굴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