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대출 줄여라” 규제에…은행 예대금리차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9 09:49
대출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대출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은행권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가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 금리는 빠르게 하락하고 있지만, 가계대출 금리 인하 속도는 더디기 때문이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대출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9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6월 기준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는 1.42%포인트(p)로 나타났다. 전월(1.35%(p)) 대비 0.07%p 확대된 수치다. 정책서민금융을 제외한 가계 예대금리차는 같은 기간 1.34%에서 1.42%로 0.08%p 벌어졌다.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예금 금리가 대출 금리보다 빠르게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5대 은행의 6월 평균 가계대출 금리는 연 3.97%로 전월(연 3.98%) 대비 0.01%p 하락했다. 정책서민금융을 제외한 가계대출 금리 역시 연 3.97%에서 연 3.96%로 0.01%p 낮아졌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금리가 연 4.17%에서 연 4.06%로 0.11%p나 낮아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계대출 금리는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 것이다.


예금 금리 하락 폭은 이보다 더 컸다. 저축성수신 금리는 연 2.64%에서 연 2.54%로 한 달 새 0.1%p 떨어졌다. 1년 만기 가계 정기예금 금리은 연 2.59%에서 연 2.53%로 0.06%p 낮아졌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급등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자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대한 대출 관리 압박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가계대출 금리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것이란 분석이다.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은행들이 전방위적인 가계대출 조이기에 들어간 만큼 예대금리차는 한동안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실제 6·27 대책에 따라 은행권은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기존 대비 50%로 축소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 흐름에도 은행들이 가계대출 금리 인하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대출이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