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정청래·박찬대(왼쪽) 당대표 후보가 2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8·2 전당대회 순회 경선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청래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 충청권에 이어 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도 연이어 승리를 거두며 초반 승기를 잡았다. 당내 강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한 '개혁 드라이브'가 표심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20일 중앙당사에서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등 영남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 후보는 62.55%를 득표해 37.45%를 얻은 박 후보를 25%포인트 이상 차이로 제쳤다. 전날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에서도 정 후보가 62.65%로 박 후보(37.35%)를 크게 앞선 바 있다.
이로써 두 차례 권역별 경선 모두 정 후보가 압도적 우위를 점하며 사실상 초반 '당심의 선택'을 이끌어낸 모양새다.
정 후보의 선전 배경에는 '신속하고 강력한 개혁' 기조가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20일 연설회에서도 정 후보는 “내란 정당은 해산해야 한다"며 국민의힘을 정면 비판하는 초강경 메시지를 던졌다.
경선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내란 세력 척결을 위한 당원들의 명령이라 생각하고 약속한 바를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당‧정‧대 원팀'을 내세우며 안정적 리더십을 강조해 온 박찬대 후보는 초반 열세를 보이며 고전하는 모양새다.
박 후보 측은 “개혁 의지와 실적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며 “'개혁은 정청래, 협치는 박찬대'라는 단순 구도를 깨기 위해 당원과의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 안팎에서는 정 후보의 기세가 수도권과 호남에서도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권리당원 비중이 전체의 35%에 달하는 호남권은 향후 승부의 분수령으로 꼽힌다.
정 후보는 대선 당시 광주·전남 선대위 위원장을 맡는 등 조직적 기반을 다져왔고, 박 후보는 호남 '일주일 살기' 등의 행보로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경선 일정 변동 가능성도 변수로 떠올랐다.
박 후보 측은 전국적인 폭우 피해를 이유로 지역 순회 경선 연기를 주장하며 “전당대회는 일정대로 하되, 지역 경선을 '원샷'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 후보 측은 “오히려 일정을 앞당겨야 한다"고 맞서면서, 양측 간 신경전이 벌어지는 분위기다.
한편 민주당 대표 선거는 권리당원 투표(55%)를 중심으로 대의원 투표(15%), 일반국민 여론조사(30%)를 합산해 최종 승자를 결정한다. 권리당원 이외의 투표 결과는 오는 8월 2일 전국 대의원대회에서 일괄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