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 “기후대응댐 필요성 재검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5 14:36

“기후대응댐 뭉뜽그려서 표현”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윤석열 정부 시절 환경부에서 수립한 기후대응댐 건설 필요성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10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댐 신설과 관련해) 주민 반발은 없는지 등을 정밀하게 재검토해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정부가 추진하는 신규 댐에는) 다목적댐으로 설계 중인 것도 있고, 평소에는 수문을 열어두고 폭우가 왔을 때 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용도로 설계하는 댐도 있다"면서 “전체적으로 필요성을 정밀하게 재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환경부가 붙인 '기후대응댐'이라는 명칭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기후대응댐이라는 표현이 맞지 않는 거 같다'라는 박 의원 지적에 “너무 뭉뚱그려서 표현한 거 같다"고 호응했다.


환경부는 윤석열 정부 때인 지난 3월13일 기후대응댐 14곳 중 9곳을 확정했다.




환경부는 기후대응댐을 통해 약 220만명의 시민이 사용가능한 연간 2억5000만톤의 물공급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보고 있다.


하지만 나머지 5곳 기후대응댐은 주민들 반대 등에 부딪혀 추가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보류된 5곳 댐은 전남 화순 동복천댐·순천 옥천댐, 충남 청양·부여 지천댐, 강원 양구 수입천댐, 충 단양 단양천댐이다.


하지만 김 후보자 말대로 기후대응댐의 필요성이 재검토될 경우 나머지 5곳 댐뿐만 아니라 이미 확정된 9곳 댐도 미래가 불투명할 전망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