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한 마트(사진=로이터/연합)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동월대비 2.7% 오른 것으로 발표됐다.
15일(현지시간) 미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미국 6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해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6%)를 상회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의 경우 0.3%로 집계, 전망치(0.3%)와 부합했다.
반면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6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전월 대비 각각 2.9%, 0.2% 오르면서 전문가 예상치(3.0%·0.3%)를 하회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 CPI 상승률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지을 때 눈여겨보는 지표 중 하나다.
이번 6월 CPI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을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월가에선 6월 물가지표 정도부터 관세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특히 6월 CPI 상승률은 5월(2.4%) 대비 반등하며 지난 2월(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가 물가 지표를 통해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다만 반등 수준이 예상치와 대체적으로 부합했고 근원 CPI는 오히려 예상에 못 미쳐 시장을 안도하게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CPI 발표가 이달 금리 인하를 지지하는 주장을 펼치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7월 CPI에도 이와 비슷한 흐름으로 나타날 경우 연준이 금리 동결을 이어가기 어려울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6월 CPI 발표 직후 뉴욕증시 선물은 상승세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5일 한국시간 오후 9시 31분 기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선물은 0.04%, S&P 500 선물은 +0.49% , 나스닥100 선물은 0.71% 등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