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10대 수입대상국 현황
▲*단위: 수입액 억달러, 증가율(전년동기비)·비중 %. 자료=한국무역협회(K-Stat)
오는 8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될 경우 미국 수입시장 축소와 함께 국가간 경쟁구도가 재편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2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트럼프 1기 이후 미국 수입시장 수출경합 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과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등 주요 대미 자동차 수출국의 점유율은 지난해와 비교해 일제히 하락했다.
'자동차·부품 품목관세'(25%) 부과 영향이 본격화되며 수출국들의 대미 수출여건이 악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1~4월 미국의 대외 수입액(1조2242억달러)은 19.2% 크게 증가했지만, 대(對)한국 수입액(417억달러)은 5.0% 감소했다. 이같은 감소로 미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 순위는 지난해 7위에서 올해(1~4월 기준) 10위로, 비중도 4.0%에서 3.4%로 0.6%포인트로 동반하락했다.
이번 보고서는 트럼프 1기 출범 전후인 2016년과 지난해를 기준으로 미국 수입시장 내 주요국의 수출 경합 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의 중국 견제와 보호무역 기조 장기화로 미국 수입시장 내 입지가 축소된 중국을 대체하며 부상한 멕시코와 인도는 우리나라와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나라는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확대와 함께 한국과의 수출 경합도가 동시에 상승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국가별 상이한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수입시장 규모의 감소와 함께 경합 품목을 중심으로 국가 간 경쟁 양상도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25%)보다 고율의 상호관세가 예고된 중국(54%), 베트남(46%), 대만(32%), 인도(26%)의 경우 기계류와 전기·전자제품을 중심으로 경쟁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관세에 따른 가격적인 이점으로 한국에 반사이익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에 일본(24%), 독일(20%)은 우리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아 가격 측면에서 우위에 놓여있다고 봤다. 주된 경쟁 품목인 자동차 및 부품의 경우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품목관세를 일괄적용 받아 단기적 변화는 제한적일 것이나, 기계류 등에서는 우리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됐다.
김규원 무협 수석연구원은 “상호관세로 인한 대미 수출 감소에 사전 대비해야 한다"며 “기업 차원에서는 생산 거점을 다양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해 과세 기준가격을 낮추는 한편 미국 내 생산이 어렵거나 대체 가능성이 낮은 품목으로 수출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