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노조 '공동성명'이 27일 경기 성남시 1784 사옥에서 최인혁 비즈테크니스부문 대표 내정 반대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집회엔 조합원 약 100명이 참여했다. 사진=이태민 기자
네이버가 이해진 창업자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최인혁 전 최고운영책임자(COO) 복귀를 물밑에서 준비하고 있었던 정황이 포착돼 파장이 예상된다. 조직문화 퇴보에 대한 우려가 적잖은 가운데 이같은 내용이 사실로 굳어질 경우 노사갈등이 심화할 전망이다.
네이버의 과반 노동조합인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노조 네이버지회(공동성명)는 27일 경기 성남시 1784 사옥에서 집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15일 최고경영자(CEO) 산하 조직 테크비즈니스부문을 신설해 최 대표를 내정했다. 그는 이해진 창업자와 삼성SDS 재직 시절부터 호흡을 맞춰온 '복심'으로 꼽힌다.
다만 그는 2021년 발생했던 직장 내 괴롭힘 사망 사건 가해자로 지목된 임원급 책임 리더 A씨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채용 과정에서 “책임지겠다"며 영입을 추진한 인물이 최 대표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내부에선 네이버의 조직문화가 과거 수직적 구조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노조 측이 입수한 '2021년 직장 내 괴롭힘 사망사건 관련 사실관계 설명회' PPT 문건에 따르면, 변대규 이사회 의장의 일부 발언과 내부 인사·메일 내용 등 네이버 외부 인물이 접근할 수 없는 정보가 다수 포함됐다. '설명회 개최 배경' 페이지엔 '회사와 최 대표 간 합의된 입장문으로 변경 예정'이란 설명이 덧붙여져 있었다.
이는 지난 3월 최 대표가 해당 사건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소명한 것으로 전해진 비공개 사내 설명회 당시 활용됐던 PPT다. 해당 문건은 최종 완성본이 아닌 작성 중이었으며, 최 대표는 당시 퇴사자 신분이었기 때문에 문건을 열람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누군가 검토한 듯 자료에 대한 삭제 요청·제목 수정 제안 등 피드백 관련 의견도 남겨져 있어 최 대표 복귀가 회사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준비됐을 수 있다는 추측이다.
오세윤 지회장은 “소개문 등을 최 대표와 합의된 입장문으로 변경하겠다는 내용, 변 의장의 인사말·마무리 발언 등 내용이 PPT 공식 순서에 들어가 있다는 건 최 대표 복귀를 위한 사전 작업을 누군가와 같이 했다는 것"이라며 “최 대표 복귀 결정 이전부터 입장 소명을 위한 발표 시나리오와 자료를 사내 인물이 제작했고, 해당 사건에 대한 최 대표 입장을 개인이 준비했다기보단 여러 사람이 논의하며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네이버 노조 '공동성명'이 27일 경기 성남시 1784 사옥에서 최인혁 테크비즈니스부문 대표 내정 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이날 집회에는 조합원 약 100명이 참가했다. 사진=이태민 기자
설명회 개최 사실이 알려졌을 당시 사측은 “최 대표 복귀와 연관 없는 자리"라며 선을 그었지만, 당시 업계 안팎에선 최 대표 복귀설이 지속 제기됐다. 이 창업자가 이사회에 복귀한 시점과 맞물렸던 점이 힘을 실었다.
쟁점은 최 대표 복귀를 확정지은 시점이다. 업계 안팎에선 네이버가 최 대표 복귀를 3월 정기 주주총회 직후 확정한 뒤 물밑작업에 나섰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 과정에서 최 대표 내정 발표 시점을 한 차례 연기했을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된다.
정기 인사 시점에 이를 알릴 경우, 이 창업자의 이사회 복귀와 연결돼 논란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란 분석이다. 해당 사건의 여진이 남아 있는 내부 상황을 고려하면, 이에 대한 구성원 및 주주 반발도 적잖을 것이란 예상도 주효했을 것이란 시각이다. 이번에 노조 측이 확보한 문건의 내용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업계 안팎의 추측이 기정사실로 굳어지면서 노사갈등 격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노조 측은 공식 질의를 통해 오는 30일까지 문건 작성 과정에 대한 사실 해명과 최 대표 복귀에 대한 경영진 입장을 촉구한 상태다. 사측이 무대응 입장을 고수할 경우, 다음달 11일 확대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다만, 총파업의 경우 최근 임금및단체협상(임단협) 체결이 완료돼 합법적으로 개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네이버 노조는 이날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총투표 결과 조합원의 약 98.82%가 최 대표 복귀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투표는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조합원 5701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가운데 참여자 4507명 중 4454명이 반대 의사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