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직원이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LG전자가 세탁기와 건조기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신가전 '세탁건조기' 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공간 활용도가 높다는 점 등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받으며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기존 제품 대비 가격대가 높아 수익성 확보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를 국내 시장에 최초로 출시하고 관련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2025년형 신제품을 선보이며 인공지능(AI) 성능을 대폭 강화했다고 홍보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주무기는 7형 터치스크린 'AI 홈'이다. 스크린이 탑재돼 다양한 코스와 기능을 한눈에 보고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있다. 'AI 홈' 스크린에서 집안 도면을 3차원으로 보여주고 연결된 가전의 위치와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3D 맵뷰' 활용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기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게 업체 측 설명이다.

▲LG전자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 제품 이미지.
LG전자는 2020년 세탁건조기를 내놓고 시장을 선점한 상태다. 타워형 결합 제품이 주력이지만 지난 2월 성능을 끌어올린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를 출시하며 방어전에 나섰다. LG전자의 마케팅 포인트 역시 AI다. 신제품이 핵심부품 기술력인 코어테크(Core Tech)를 상징하는 AI DD모터가 탑재됐다는 점을 앞세웠다. 딥러닝 AI 기술을 통해 옷감의 재질, 무게, 오염도에 따라 옷감 손상을 줄여주는 6모션으로 맞춤 세탁·건조한다는 사실도 홍보 중이다.
세탁건조기 시장을 둘러싼 양사 신경전도 벌어지고 있다. LG전자가 지난 2월 워시콤보 신규 라인업을 선보이고 상품성을 강화하자 삼성전자가 한달여만에 신제품을 선보이며 용량을 더 키운 게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국내 최대 건조 용량'이라는 수식어를 전면에 내세웠다.
지난해에는 양측이 타사 제품을 비방하며 시끄러운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LG전자가 트럼 워시콤보 소비전력이 낮다며 경쟁사를 우회적으로 비판하자 삼성전자가 크게 반발했다. 건조 방식을 둘러싸고도 잡음이 있었다. LG전자는 세탁건조기에 100% 히트펌프 기술만을 사용해 옷감 손상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고 주장했고 삼성전자는 기존 히터방식과 결합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맞섰다.
삼성·LG전자가 이처럼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이유는 국내 시장에서 세탁건조기 수요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기준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가 출시 1년 만에 국내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초반에는 3일만에 1000대, 12일만에 3000대가 판매되며 돌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LG전자 트롬 워시타워는 2020년 4월 데뷔 이후 국내 누적 판매가 100만대를 넘어섰다. 출시 후 작년까지 연평균 25% 넘는 매출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워시타워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타워형으로 결합한 제품이다. 동급 드럼 세탁기와 건조기를 위아래로 설치할 때보다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AI 기능이 적용됐다는 점 등이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양측이 세탁건조기 신가전 판매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본다. 제품가가 300만원대부터 최대 600만원대까지 형성돼 수익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중국 업체들이 저가형 세탁·건조기를 국내에 속속 들여오는 상황에 이들을 견제하기 위해 고품질 제품 마케팅을 강화하는 측면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세탁건조기 시장은 커지지만 제조사 기술력이 정점에 오른 상태는 아니라 삼성·LG전자 모두 한동안 신제품 개발·출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