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포털 '다음' 대표 CI.
카카오가 포털 서비스 '다음'의 분사 작업에 속도를 내며, 이달 중 분사 절차를 사실상 마무리할 계획이다. 2014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을 합병한 지 11년 만에 별도 법인으로 다시 독립하게 되는 셈이다.
18일 ICT(정보통신기술)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한 포털 다음 분사 작업을 사실상 이달 중 마무리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직원들의 전적 동의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는 2023년 5월 다음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전환해 독자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형태로 운영해 왔다. 그러나 최근 포털·검색·콘텐츠 시장에서 네이버와 구글 등과의 경쟁 심화, 실적 부진 등으로 인해 조직 유연성과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이달 중 다음 분사 작업을 마무리하고, 상반기 중 이사회를 열어 분사 안건을 의결할 계획이다. 현재 직원들의 전적 동의 절차가 진행 중이며, 구성원 설득 작업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다음은 한때 네이버와 함께 국내 포털 시장의 양대 축으로 자리했으나, 최근 몇 년간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하락했다. 웹로그 분석사이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5월 기준 다음의 국내 검색 점유율은 3.07%로, 네이버(60.34%), 구글(31.66%)에 크게 뒤처진 4위에 머물고 있다.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다음을 독립 법인으로 전환해 조직 유연성을 확보하고, 부진한 실적 개선을 위한 사업 재편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최근 비핵심 자산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분사 이후 다음의 매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다음 분사의 핵심은 좋은 회사를 만드는 것이며, 매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다음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사업"이라며, “분사를 통해 자율적 실험과 독립 경영이 가능한 구조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다음은 올해 들어 서비스 경쟁력 회복을 위해 전면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지난 1월에는 9년 만에 앱 개편과 로고 교체를 실시했고 4월에는 큐레이션 챗봇 '디디(DD)'와 숏폼 콘텐츠 전용 탭 '루프(loop)'를 도입하는 등 사용자 경험과 콘텐츠 편의성을 크게 강화했다.
앞으로도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종합 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