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美 늘리고 中 바꾸고…풀무원 ‘글로벌 흑자’ 만들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9 16:06

실적 저조 中충칭법인 건기식·뷰티 청산

베이징·상하이 두부·냉장면 확대로 전환

美두부공장 9월 증설 현지수요 적극 대처

중국 내 풀무원 '베이징 2공장'에서 생산된 포장 두부. 사진=풀무원

▲중국 내 풀무원 '베이징 2공장'에서 생산된 포장 두부. 사진=풀무원

최근 3개년 풀무원 해외사업 실적

최근 3개년 풀무원 해외사업 실적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풀무원이 올해 해외사업 흑자 달성을 위해 주력 진출국들의 사업 개편과 신규 시장 개척을 병행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성장성 있는 식품 포트폴리오 중심의 '선택과 집중' 전략 차원에서 중국 내 비주력 법인을 매각하거나 미국 두부 생산기지를 증설하는 한편, 신흥 시장인 유럽시장으로 눈을 돌려 추가 수요 확보도 꾀하는 분위기다.


29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풀무원은 자회사 풀무원건강생활의 중국 충칭법인 '푸메이뚜어러훠(중국)유한공사' 지분 100%를 현지 업체에 매각했다. 오는 5월 중 매각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으로 시장에서 거론되는 매각 추정가는 100억 원대다.


풀무원이 충칭 법인을 정리한 이유는 경영 효율화 차원에서다. 풀무원은 지난 2010년 베이징·상하이에 풀무원식품 법인(푸메이뚜어 식품)을 설립해 중국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후 2013년 충칭에 풀무원건강생활의 현지 법인을 마련해 3개 법인 중심으로 현지 사업을 전개해왔다.


냉장·신선식품을 취급하는 다른 중국 내 법인들과 달리, 충칭 법인은 소규모로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사업을 펼쳐왔다. 다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실적 기여도도 저조함에 따라 2022년 말 해당 사업들을 철수하고, 이번에 후속조치로 매각을 단행한 것이다.




풀무원 관계자는 “충칭 법인은 2021년부터 매출도 제대로 잡히지 않았고, 그 규모도 중국 사업 전체의 1% 미만으로 미미했다"면서 “해당 법인 매각을 계기로 기존 베이징과 상하이 법인의 두부·냉장면 등 신선식품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글로벌 사업 호조에 풀무원은 사상 처음으로 연매출 3조원을 넘겼지만, 해외사업(해외식품제조유통부문)은 여전히 적자 상태에 그쳤다. 다만, 영업손실 폭을 크게 좁히면서 흑자 전환 기대감이 높아진 터라 부실한 해외 사업을 솎아내되 이익 개선을 위해 성장성이 먹거리 높은 사업에 집중하는 것이라는 평가가 뒤따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영업손실 454억원을 기록한 풀무원의 해외사업 영업손실액은 이듬해 손실규 구모를 222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특히, 지난해 영업손실 55억원으로 2년 전보다 약 4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 올해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실적 개선 기대감과 함께 풀무원은 중국뿐 아니라 다른 진출국에서도 두부·냉장면 등 생산 노하우가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 위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풀무원 해외사업 비중의 70%를 차지하는 미국법인(풀무원USA)은 지난해 전체 매출의 절반이 두부에서 나올 만큼 대표 품목으로 취급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법인의 두부 매출이 전년 대비 12.1% 증가하는 등 현지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량 확대를 위해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 아이어 두부공장도 증설하고 있다. 오는 9월 가동 목표로 증설 완료 시 매월 1400만 모, 연간 1억6800만 모까지 두부 생산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확충된 미국법인의 두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유럽 공략도 본격화한다. 연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지역에 유럽 판매법인 신설을 예고했으며, 현재 미국법인을 통해 영업 사무소를 운영하며 현지 분위기를 검토하는 상황이다.


풀무원 관계자는 “올해는 기존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진출국의 사업 강화는 물론, 글로벌 신규 시장 진출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유럽 시장을 시작으로 해외 영토 확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