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마포구 아현동 웨딩거리 한 웨딩드레스 판매점
지난해 누적된 혼인 감소 영향으로 신혼부부가 처음으로 100만쌍이 무너졌다. 계속되는 저출산 기조로 무자녀 신혼부부 비중은 50%에 육박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에 따르면 작년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신혼부부는 97만4000쌍으로 전년(103만2000쌍)보다 5만8000쌍(5.6%) 감소했다.
신혼부부가 100만쌍을 밑돈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지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2015년 147만2000쌍에 달했던 신혼부부는 매년 5만~8만쌍씩 줄고 있다.
다만 혼인 1년 차 신혼부부(19만1175쌍)는 전년보다 2.9% 증가했다. 혼인 1년 차 신혼부부가 늘어난 것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 탓에 지연됐던 결혼이 지난 2022년 8월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집중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세종(-8.8%), 경북(-7.7%) 등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전년보다 줄었다.
반면 결혼 2년 차 이상 신혼부부는 모두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혼부부 중 초혼부부는 전체의 78.9%를 차지했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는 47.5%로 전년보다 1.1%포인트(p) 상승했다.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0.63명으로 전년(0.65명)보다 0.02명 감소했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8.9%로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58.9%)보다 낮았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58.2%로 전년보다 1.0%p 상승했다.
혼인 1년 차의 맞벌이 비중이 61.8%로 가장 높았다. 혼인 연차가 높아질수록 맞벌이 비중은 작아져 결혼 5년 차에는 54.9%까지 떨어졌다.

▲신혼부부수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7265만원으로 전년(6790만원)보다 7.0% 증가했다. 소득이 높은 맞벌이 부부 비중이 늘어난 영향이다.
맞벌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소득은 8972만원, 외벌이 부부는 5369만원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대출잔액이 있는 부부는 전체의 87.8%로 전년보다 1.2%p 하락했다. 대출이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지난 2021년(89.1%) 이후 2년째 하락세다.
다만 대출잔액의 중앙값은 1억7051만원으로 전년(1억6417만원)보다 634만원 늘었다. 고금리 영향으로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하락했지만 보금자리론 등 주택 관련 대출 지원 영향으로 고액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맞벌이 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9000만원,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2억707만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