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창간 35주년] 에너지도 늙는다…2030년대 후반 이후 감소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4 17:04

에경연 장기에너지전망, 2050년 소비량 현재와 비슷

인구 감소와 효율 향상으로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 감소

차량 보급 감소 및 친환경차 확대로 수송 에너지 소비 감소

초고령화 사회로 제조업 약세지만 산업 에너지 지속 증가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인구는 2021년 16%에서 2050년 40%로 증가하는 반면,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2021년 71.6%에서 2050년 47.3%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감소 속 유년층의 감소와 노년층의 증가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는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 패턴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올해 초 발간한 '2023년 장기에너지전망' 보고서에서 국내 최종소비 부문의 에너지 수요가 2022년 2억2280만toe에서 2030년대 후반 약 2억4000만toe까지 증가 후 하락세로 전환해 2050년에는 2억2870만toe로 현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간 가정 부문 에너지 수요는 인구 감소와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11.6% 감소, 수송 부문은 전기차 대체 등으로 45.3% 감소하는 반면, 산업 부문은 12.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2050년 가정 부문 에너지 수요는 인구 감소로 인해 20.5 백만toe까지 하락할 전망

지난해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는 3년 연속 증가하며 2018년 후로 가장 높은 23.2 백만toe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다만 이후 2050년 20.5 백만toe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2021년 시작된 인구 감소와 전망 기간 동안의 소득 증가율 둔화는 이러한 가정 부문 내 에너지 소비 감소를 이끄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이후 인구는 감소세를 지속해 전망 기간 연평균 0.3 % 감소할 전망이다. 2022년 1인당 GDP는 전년 대비 2.8 % 상승하였지만 전망 기간 연평균 1.5 % 성장에 그쳐 소득 증가가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

▲가정 부문 에너지 수요, 가구당 수요, 일인당 수요 전망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 비중이 확대되면서, 전망 기간 주택 수는 연평균 0.4 % 증가하고 가구 수 역시 연평균 0.2 % 상승해, 호당 에너지 수요는 연평균 0.8 %감소할 것으로 분석된다. 가구당 에너지 수요도 2022년 1.1 toe에서 가구원수 감소 및 에너지효율 향상에 따라 연평균 0.6 % 하락하여 2050년에는 0.9 toe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이와 달리1인당 에너지 수요는 전망 기간 약 0.4 toe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혼인율 감소와 독거 노인비율 증가 등으로 인한 1인 가구 비중 확대, 생활 편의를 위한 가전기기 보급의 확대 및 다양한가전기기 도입 등으로 인해 1인당 에너지 수요는 정체될 가능성이 크다.




석탄과 석유 등 온실가스 다배출 에너지원에서 저·무배출 에너지원으로의 대체 지속

가정의 에너지 소비는 수년 전부터 가스레인지 대신 인덕션(Induction) 방식의 레인지를 사용하고 가스건조기 대신 전기건조기를 사용하는 등 소비자들은 1차 에너지인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보다 원자력발전소와 재생에너지 발전기 등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가정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0년 29.5 백만톤-CO2eq에서 연평균 0.2 % 증가하여 2022년 31.0 백만톤-CO2eq을 기록했다. 가정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은 에너지 소비의 증감 추세와 동조했지만, 2022년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가 정점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으로 온실가스배출은 2005년(33.4 백만톤-CO2eq)에 비해 감소했다. 이는 온실가스 다배출 에너지 상품인 석탄과 석유 소비가 도시가스와 지역난방으로 대체된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돼 2050년 가정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은 2022년 대비 30 % 이상 낮은 21.5 백만톤-CO2eq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1

▲가정 부문 에너지 상품별 수요와 온실가스 전망

2000년 이후 단독주택 비중이 감소하면서, 석유와 석탄 수요는 2000년 이후 2022년까지 연평균 각각 4.0 %, 3.2 % 하락했다. 이 추세는 전망 기간 지속되어 2050년 석탄 수요는 거의 퇴출되고 석유 수요는 2050년 0.6 백만toe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2000~2022년에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 같은 도시형 거주의 확대는 도시가스와 지역난방 에너지 수요 확대를 견인하며 온실가스의 직접 배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REF에서는 전망 기간 단독주택에서의 난방/온수용 도시가스 도입이 확대되면서 도시가스는 가장 높은 소비 비중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도시가스 수요는 2022년 11.5 백만toe에서 2050년 9.2 백만toe로 약 20 %하락한다. 가정 부문 내 저∙무배출로의 에너지 상품 전환이 지속되면서 전기 수요는 2022년 대비 16.7 % 증가하여 2050년 7.9 백만toe,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동 기간 18.1 % 증가하여 2050년 0.5 백만toe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2050년 에너지 상품별 소비 비중은 가스(44.8 %), 전기(38.4 %), 지역난방(11.2 %), 신재생에너지(2.6 %), 석유(3.0 %) 순으로 전망된다.


1

▲가정 부문 에너지 상품별 수요 증감 비교

전망 기간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는 에너지 상품은 전기로 연평균 0.6 %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가구 내 다양한 가전기기가 보급되고, 인덕션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취사의 전기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난방/온수, 취사용 에너지 수요는 감소, 가전기기 및 냉방 중심으로 소비 비중 확대 전망

가정 부문의 용도별 에너지 사용 추이를 기간 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난방/온수용, 취사용 에너지 수요 비중이 지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난방/온수용 에너지 사용량은 2000년 12.3 백만toe에서 연평균 1 % 증가하여 2022년 기준 15.3 백만toe를 기록하였지만, 가정 부문 내 용도별 사용량의 상대적 비중은 동 기간 75.4 %에서 66.3 %로 감소했다. 취사용 에너지 역시 동기간 1.3 백만toe에서 1.6 백만toe로 절대적 사용량은 증가했지만, 사용 비중은 7.9 %에서 6.8 %로 감소했다. 냉방 및 기타 가전 용도의 비중은 2000년 14.1 %에서 2022년 23.0 %로 증가하면서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의 증가를 견인했다. 조명용 에너지 소비는 동 기간 연평균 3.5 % 증가하여 2022년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의 4.0 %를 차지했다.


1

▲가정 부문 용도별 에너지 수요 비중 변화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인구의 감소와 1인 가구 비중 증가가 이어지면서 난방/온수용과 취사용 에너지 수요는 지속 감소해 2050년 난방/온수용 에너지 수요는 11.5 백만toe, 취사용 에너지 수요는 1.1 백만toe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정 부문 에너지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하락해 2050년 난방/온수용의 비중은 56.0 %, 취사용의 비중은 5.2 %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냉방용 에너지 수요는 평균 기온 상승으로 인해 2022년에서 2050년 사이 98 % 이상 증가한 1.5 백만toe까지 상승할 전망이며, 그 비중도 3.3 %에서 7.3 %로 확대된다. 전망 기간 전체 가구 수는 증가하고 생활 편의를 위한 다양한 가전기기가 보급되면서 가전기기용 에너지 수요는 2022년 대비 20 % 이상 증가하여 2050년 5.6 백만toe까지 증가하며, 그 비중도 19.7 %에서 27.3 %까지 확대된다. 조명용 에너지 수요는 지난 2000~2022년 사이에 증가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의 도입이 확대되며 연평균 0.6 % 감소할 전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전기화가 반드시 바람직한 흐름이 아니라는 우려도 나온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대기환경 개선이라는 또 하나의 글로벌 트렌드가 화석연료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들고는 있지만 석탄화력발전소가 생산하는 전기 비중이 40%에서 최대 50%에 육박하는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전기화가 과연 친환경적인 것인지는 생각해봐야 할 이슈"라며 “특히 전기를 재생에너지로만 생산한다면 전기화가 나쁘지 않다고 주장하는데 재생에너지로만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현재 상황에서는 현실가능성이 높지 않기에 약간 비현실적 주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기는 1차 에너지인 화석연료를 이용해 생산한 2차 에너지인데 대한민국에서는 화석연료보다 더 저렴하게 유통되고 있다. 편리한 전기가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한 대한민국의 기괴한 현실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라는 측면은 계속해서 희생되고 있다"며 “냉방과 조명 등 전기를 꼭 사용해야 하는 곳이 아니라면 1차 에너지인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것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연차 감소, 친환경차 증가…수송용 에너지 2050년까지 연 2.1% 감소

인구 감소 등 인구구조 영향으로 국내 수송 에너지는 2050년까지 연평균 2.1% 감소가 예상된다. 사진=픽사베이

▲인구 감소 등 인구구조 영향으로 국내 수송 에너지는 2050년까지 연평균 2.1% 감소가 예상된다. 사진=픽사베이

인구 수 감소와 특히 유년층의 감소 및 노년층의 증가 등의 인구구조 변화는 수송과 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는 효율 향상 및 친환경차 보급 확대 등으로 2050년까지 지속 감소가 예측되고, 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는 인구구조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선에서 2040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23 장기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서 수송 부문 에너지 수요가 2022년 3630만toe에서 연평균 2.1%로 지속 감소해 2050년에는 2000만toe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보급은 2022년 2580만대에서 포화 수준에 근접해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2040년대 초반에 감소세로 전환돼 2050년 2820만대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자동차 제조사들의 경쟁적인 친환경차 출시와 정부의 적극적인 보급 확대 지원 정책에 힘입어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친환경차 보급은 2022년대비 2050년까지 연평균 2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국내 수송 에너지 2050년까지 전망.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장기에너지전망'

▲국내 수송 에너지 2050년까지 전망.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장기에너지전망'


도로 부문 에너지 수요는 2022년부터 2050년까지 연평균 2.3%, 약 1600만toe가량 감소할 전망이다.


내연기관 자동차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저등급 경유 자동차 운행 규제 및 퇴출 유도 정책 강화,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 등에 따른 생산 제약 등으로 전기차와 수소차에게 시장을 내주면서 2020년대 초 정점 도달 이후 보급 대수가 꾸준히 감소할 전망이다.


전망 기간 동안 전기차와 수소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가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도로 부문의 석유 수요는 1800만toe 이상 감소하는 반면, 고효율의 전기차 보급 확대로 인한 전기 수요는 100만toe 정도 증가에 그쳐 전체 에너지 수요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 감소, 서비스업 증가…산업용 에너지 2050년까지 연 0.4% 증가

에경연 '2023 장기 에너지 전망' 보고서는 산업 부문 에너지 수요가 2022년부터 2050년까지 연평균 0.4% 증가해 2050년에는 1억5650만toe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준 시나리오(REF)에서는 에너지 수요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다가 2040년대 초반 정점을 기록한 후 완만한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됐다. 에너지 수요 증가세 둔화 및 하락세 전환 원인은 경제의 저성장 기조 속에서 제조업 생산 활동 증가 속도가 과거에 비해 크게 둔화되기 때문이다.


산업의 부가가치는 2022년 651조1000억원에서 2050년 770조4000억원으로 연평균 0.6% 성장할 전망인데,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조, 공정 부문의 에너지 효율 개선, 고부가가치화, 에너지 저소비형 업종 중심으로의 산업 구조 변화 등으로 전망 기간 산업 부문 에너지 수요 증가율은 부가가치 연평균 증가율보다 낮은 0.4%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산업용 에너지 2050년까지 전망.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장기에너지전망'

▲국내 산업용 에너지 2050년까지 전망.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장기에너지전망'


이 같은 산업구조 변화는 전체적인 인구 수 감소 속에 특히 유년층이 감소하고 노년층이 증가하는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고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산업구조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산업연구원이 2019년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변화 분석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5세에서 64세의 생산가능인구가 2017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2020년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진입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는 매년 30만명 이상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년층이 감소하고 노년층이 증가함으로 인해 산업구조는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하고, 교육서비스업 음식점, 숙박서비스업 비중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화는 순자본스톡, 노동,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부정적 효과를 미쳐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령화는 정보통신기술(ICT)산업 비중을 크게 감소시키는 반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비중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