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20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이슈분석]“액티브 시니어를 잡아라”…건설업계 ‘시니어주택’ 공급 나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25 15:09

노인인구 1천만 시대...시니어주택 확대 필요성 대두

내년 임대형 실버타운 분양...다만 공급 턱없이 모자라

분양형 실버타운 부활 가능성...과도한 입지규제는 걸림돌

전국 시니어주택

▲전국 대표 시니어주택. 한미글로벌 개발사례 분석 세미나 발표 자료 일부 캡쳐.

65세 이상 노인인구 1000만명 시대가 곧 다가온다.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 중인 현 상황에서 정부가 시니어주택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맞춰 건설업계는 경제력을 보유한 '액티브 시니어'를 타깃으로 시니어주택 공급에 나서고 있어 '틈새시장'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 경제력 있는 액티브 시니어 인구 증가

2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의 실버타운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건설업계가 잇따라 공급에 나서고 있다. 실버타운은 적정한 보증금과 월 생활비(임대료, 식대)를 내고 식사 및 운동과 여가시설, 헬스케어, 하우스키핑 등 고급서비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내년 분양 예정인 한미글로벌의 '위례 심포니아', 롯데건설의 '마곡VL르웨스트', 대우건설의 '백운호수 푸르지오 숲속의 아침' 등이 '임대형 실버타운'의 대표적 예다.


내년 3월 입주 개시가 예정된 시니어주택 '위례 심포니아'(115가구)는 실사용면적 43∼56㎡(13∼17평)으로 강남권역 접근성이 뛰어나다. 거주공간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간호사 상주 및 의료케어 등을 지원하는 중위소득계층 시니어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


이어 서울 강서 마곡부지라는 최적의 입지를 갖춘 롯데건설의 'VL르에스트'(810가구)도 공급된다. 최고급 컨시어지 서비스와 부대시설을 제공한다. 보증금은 표준형 기준 6억원~18억원 정도이며, 임대료는 월 115~354만원까지 책정돼 있다. 생활비는 식대포함 51타입 기준 1인 215만원이다.


여기에 의왕시 백운밸리 일대에 위치한 '백운호수 푸르지오 숲속의아침 스위트'(536가구, 오피스텔 842실)는 총 1378가구로 부모와 부부, 자녀가 3대가 생활이 가능하게 한 세대공존형 주거단지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모든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37~39평이 평균 5억5000만원~7억95000만원의 보증금과 월 190만원~320만원의 생활비(임대료, 식대 등)가 들어간다.




이처럼 건설업계는 최근 고급형 실버타운 조성 전략을 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스스로를 실제보다 5~10년 젊게 인식하는 '액티브 시니어'는 기존보다 독립적이며 경제적이고, 다양한 취미와 스스로에 대한 노후가 잘 준비돼 있어 이들을 타깃삼는 상품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관광공사의 2022년 자료를 보면 고령친화사업 시장은 2015년 67조9000억원 대비 약 2배 성장한 124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 분양형 부활 초읽기…입지제한은 아쉬워

이처럼 최근 정부와 민간건설업계가 실버타운을 추진하고 있지만, 늘어나는 노인인구를 모두 수용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업계에 따르면 시니어 주택은 전국 39개소 정도이며 서울은 11개소만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현재 실버타운이 모두 '분양형' 없이 '임대형'으로만 공급할 수 있어 수익성 부족으로 사업자가 달려들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분양형 실버타운은 불법투기와 관리부실이라는 이유로 2015년 이후 잠정 폐지해 현재로선 분양형 실버타운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서울시니어스 고창타워'와 '동백 스프링카운티자이', '용인 고기동 실버타운' 정도가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분양형 실버타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도 최근 사업자가 적극적으로 시니어주택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나섰다. 분양형 사업 활성화를 위해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전처럼 막대한 시세차익을 노리지 못하도록 인구감소지역인 경기 가평, 연천 등 전국 89곳으로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투기수요를 억제한다는 측면에서 입지를 과도하게 제한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시행사 한 관계자는 “수익성이 없어도 공익사업이란 측면에서 시니어 임대주택을 추진해왔지만 분양형이 도입되면 더 많은 플레이어가 더 양질의 서비스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며 “다만 입지를 이렇게 제한한다면 분양형이라도 선뜻 사업자들이 달려들지 못할 것이다"고 말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초고령 사회를 맞이해 실버세대 맞춤형 주거상품 개발과 제도정비가 필요한 시기"라며 “분양형은 사업자의 자본 운영과 소유주의 퇴거를 염두에 두고 사업을 추진해야 하므로 입지 규제를 수도권 내에서도 가능하도록 좀 더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