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대한통운 크록스 통합물류센터
CJ대한통운이 경기도 이천에 글로벌 신발 브랜드 크록스의 통합물류센터를 구축했다.
CJ대한통운은 수도권 2곳에 분산됐던 물류센터 통합으로 시너지·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라고 22일 밝혔다. 이 센터의 연면적은 2만㎡ 규모다.
일일 박스 처리량은 최대 5만건이다. 이는 기존 대비 2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배송도 빨라졌다.
전국 90여개의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을 아우르는 '통합물류센터'로 기능하는 것도 특징이다.
설계 단계부터 동선도 최적화했다. 다른 브랜드나 연예인과 협업하는 마케팅에 적극적인 크록스는 한정판 제품을 자주 내놓는 데다 여름이 다가올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CJ대한통운은 자체 개발한 자동 분류 시스템(MAAS)도 도입했다. 8000가지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크록스의 특성을 고려한 조치다.
상품을 배송지별로 분류해 그에 맞는 배송 박스로 옮기는 작업은 모두 로봇청소기처럼 생긴 50여대의 미니 AGV가 담당한다. 기존에 사람이 하던 일을 MAAS가 대체하면서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아졌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품 보관부터 포장 및 배송까지 '원스톱 물류'가 가능한 자체 인프라를 갖춘 것도 강점이다.
CJ대한통운은 아시아 4개국(한국‧인도‧중국‧싱가포르)에서 크록스의 물류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의 연면적을 모두 합치면 5만7000㎡(약 1만7000평)에 달한다.
이는 축구장 8개 크기 수준이다. 국내 기업이 아시아 4개국의 물류 사업을 동시에 따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크록스는 온라인 역량을 강화하고 아시아 매출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인 만큼 향후 CJ대한통운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월드 풋웨어 연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아시아가 전 세계 신발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3%에 이른다.
윤진 CJ대한통운 FT본부장은 “크록스의 신뢰는 CJ대한통운의 물류 인프라와 운영 역량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라며 “통합물류센터를 중심으로 크록스와 함께 아시아 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