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바이오그룹이 지난해 10월 경기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개최한 ‘글로벌 포럼 온 퓨처 메디신 2023’ 행사에서 국내외 세포유전자치료제 석학들이 연구발표를 듣는 모습. 사진=차바이오그룹 |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국내외 제약·바이오업계가 새해 트렌드 키워드로 △세포·유전자치료제(CGT) 기술 △필수·원료의약품 확보를 꼽았지만 미국·유럽 등 선진국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대응 수준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키워드로 꼽혔던 ‘항체-약물접합체(ADC)’에 이어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술도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새해에 제약바이오업계의 기술수출 활약이 기대되는 것과 달리 필수·원료의약품 확보 등 자구 노력이 상대적으로 미온적이어서 정부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는 최근 의료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2024년 제약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트렌드로 ‘세포유전자치료제’가 꼽혔다고 발표했다.
특히,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달 유전자 가위(편집) 기술인 ‘크리스퍼-캐스나인’ 기술을 적용한 적혈구질환 유전자치료제를 처음으로 승인했다.
업계는 미국 FDA의 첫 승인은 제품 시장과 그에 따른 투자 시장이 열리는 것을 의미한다며, 암, 자가면역질환, 심혈관질환, 신경퇴행성질환 등의 세포유전자치료제 글로벌 시장이 2021년 약 9조5000억원에서 올해 33조원, 2029년 100조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는 국내 기업들이 유전자 편집 기술을 비롯한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줄기세포·면역세포를 활용한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선도기업인 차바이오텍은 차백신연구소와 함께 올해부터 면역세포 일종인 자연살해세포(NK세포) 치료제의 항암효과를 높이기 위한 ‘NK세포-면역증강제 항암요법’ 공동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차병원그룹은 총 3000억원을 투입해 경기 성남 판교에 세계 최대 규모의 세포유전자치료제 생산시설을 구축, 올해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GC녹십자그룹의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 계열사 GC셀은 지난해 10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과 ‘캔서엑스’에 글로벌 제약사들과 함께 합류한데 이어, 올해 고형암의 NK세포치료제 ‘AB-201’ 임상 개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 툴젠·진코어·카스큐어테라퓨틱스 등 국내 바이오벤처들도 유전자 편집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유전자치료제 개발과 기술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새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정책동향의 키워드로는 ‘필수·원료의약품 확보 및 자국 내 생산’이 꼽힌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 2일 발표한 ‘주목해야 할 2024년 바이오산업 해외 정책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필수의약품을 미국 내에서 더 많이 생산하도록 미국 보건복지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같은 해 10월 필수·원료의약품의 유럽 내 생산을 늘리고 중국·인도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의약품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달 22일 제약바이오 정책 컨트롤타워격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국가필수의약품의 국산원료 사용시 약가우대, 수급불안 의약품의 원가보전 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는 정부가 현재의 약가인하 기조를 유지하는 한 저가의 해외 원료의약품 의존도 개선은 어렵다며 보다 과감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새해 들어 미국은 ‘국방물자생산법’에 규정된 대통령 권한을 발동해 필수의약품의 자국내 생산을 확대하기로 했고 유럽연합은 ‘유럽반도체법’·‘핵심원자재법’ 제정에 이어 핵심의약품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반도체·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외에 의약품도 공급망 확보를 위한 법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