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현창

khc@ekn.kr

강현창기자 기사모음




원전주, 관련 예산 기습 삭감 여파에 주가는 '정중동'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21 15:43

두산에너빌리티 보합…한신기계·우리기술 등 하락



관련 예산 1814억 삭감 확정땐 원전 산업에 차질



원전업계 잇단 수주 등 회복 움직임에도 찬물

clip20231121153609

▲두산에너빌리티 CI


[에너지경제신문 강현창 기자] 내년 원전 예산이 국회에서 대폭 삭감되면서 주식시장에서도 원전 관련 종목의 주가흐름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야당 주도의 원전 예산 삭감과 여당과 정부 주도의 원전 복원 움직임이 충돌을 빚는 모양새다보니 현재 주식시장은 눈치보기 장세가 펼쳐지는 중으로 분석된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요 원전 관련 종목의 주가는 보합세에 머물거나 약세를 기록 중이다.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상승세를 기록했만 원전 관련 종목은 좀처럼 오르막에 함께 오르지는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원전 관련 종목인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는 전날보다 0.07% 오른 1만4690원에 마감했다.

반면 한전기술과 한전KPS는 전날 종가와 같은 보합으로 마감했고 한신기계는 1.22% 떨어진 4450원에, 우리기술도 1.25% 떨어진 1338원에 마감했다. 그 밖에 서전기전과 수산인더스트리, 일진파워 등도 보합세를 기록했다.

이 종목들은 그동안 국내 원전 정책에 따라 등락이 정해지던 종목들이다. 이번 정부 들어 원전 생태계에 대한 복원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수혜를 보던 중이었다.

탈원전 정책으로 소외됐던 지난 정부와 달리 이번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 시작은 예산이다. 올해 정부 예산안에서 원전 관련 예산은 대폭 증액됐었다. 수출 지원을 위해서는 올해보다 30억원 증액한 71억원이, 원자력 생태계 지원을 위해서는 24억원 증액한 89억원을 투입했다.

정부의 지원이 이어지면서 원전업계도 화답하던 분위기다. 지난해 한국수자원자력이 3조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 건설 수주에 성공했고, 이를 통해 국내 원전 건설 및 기자재 공급사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의 경우 상반기 신규 수주가 전년 대비 63.6% 늘어난 5조2000억원을 기록했으며, 한전기술도 한수원과 함께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실비(TRF) 건설사업 관련 수주 소식을 전했다.

하지만 이번에 예산안이 삭감되면서 향후 원전 관련 산업이 순항할 수 있을지 불투명해졌다.

이번에 삭감된 항목은 정부가 추진하던 원전 생태계 조성 관련 예산 7개 항목 약 1814억원 전액이다.

세부적으로 △원전 생태계 금융지원사업 1000억원 △혁신형 SMR(소형 모듈 원자로) 기술개발사업 332억8000만원 △원전 수출보증사업 250억원 △원자력 생태계 지원 사업 112억원 △현장수요대응 원전 첨단제조기술 개발사업 60억원 △원전 기자재 선금 보증보험 지원사업 57억9000만원 △SMR 제작지원센터 구축사업 △1억원 등이다.

금융지원과 수출보증 등이 어려워지면 이미 계약을 따내고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인 이집트 엘다바 원전 2차 건설사업이나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TRF) 건설사업 등의 추진도 난항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만약 기존 계약의 이행에 차질이 생길 경우 보상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는 아직은 좀 더 지켜보자는 반응이다. 예산안의 최종 확정까지 지켜봐야 원전주의 주가 방향성이 명확해질 것이라는 얘기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예산안이 최종 결정되려면 예산결산특위에서 여야가 합의하고, 정부 동의도 받아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삭감된 예산이 부활할 가능성이 충분히 남아있다 보니 관련 종목의 움직임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우려되는 것은 원전 이슈가 정치적인 논리에 따라 방향이 정해지고 있다는 점"이라며 "최근 문제가 커진 한전의 적자 확대도 정치적인 논리로 시장을 움직이려다가 실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k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