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미국주식] 파월 발언에 '씁쓸' 뉴욕증시…테슬라·알파벳·아마존 등 주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10 07:59
TOTW-EV/BRANDS

▲미국 전기차 회사 테슬라 로고.로이터/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국채 금리의 급등에 하락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0.33p(0.65%) 떨어진 3만 3891.94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5.43p(0.81%) 내린 4347.35로, 나스닥지수는 128.97p(0.94%) 밀린 1만 3521.45로 마쳤다.

전날까지 S&P500지수는 8거래일, 나스닥 지수는 9거래일 연속 올랐다. 이는 둘 다 2021년 11월 이후 최장기간 오른 것이다.

이날 지수는 혼조세를 보이다 재무부 국채 입찰 결과에 금리가 급등하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후 파월 의장 발언에 낙폭을 확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열린 콘퍼런스에서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되돌릴 만큼 충분히 제약적인 정책 기조를 달성했는지는 여전히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완화적 발언을 기대한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파월 의장은 "위원회는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제약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달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는 그런 기조를 달성했다고 확신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둔화에 "나와 동료들은 이런 진전에 기쁘지만, 인플레이션을 2%로 지속해 낮추는 과정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또 "정책을 더 긴축하는 것이 적절할 경우 우리는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추가 긴축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런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에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이날 장기 국채금리가 재무부 30년물 국채 입찰 부진 소식에 큰 폭 오르면서 금리 상승세가 시장에 다시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다.

발행금리는 입찰 이전 금리보다 0.051%p 높은 수준으로 결정되면서 수요 부진을 시사했다. 또 응찰률은 2.24배로 거의 2년 만에 가장 약했다. 직접 입찰자와 간접 입찰자들 낙찰률도 2021년 이후 가장 약했다.

3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16bp가량 급등했고, 10년물 국채금리도 14bp가량 올라 4.63%를 넘어섰다. 2년물 국채금리는 10bp가량 상승해 5%를 넘어섰다. 2년물 금리가 5%를 넘은 지난 1일 이후 처음이다.

다른 연준 당국자들은 국채 수익률 급등에 따른 금융 환경 긴축을 주시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앞으로 경제가 예상보다 더 많이 둔화하지 않도록 장기 국채 수익률 상승이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장기 금리 오버슈팅(과도한 상승) 위험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장기 국채금리 움직임이 정책을 결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는 아니라고 했다. 그는 이런 금리가 매우 짧은 기간에 크게 움직일 수 있는 만큼 전체적인 시각을 가지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캐슬린 오닐 파에즈 세인트루이스 연은 임시 총재는 금리를 다시 올릴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추가적인 자료를 기다릴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 발언 이후 연준이 내년 1월 금리를 0.25%p 인상할 가능성은 전날 16%에서 23%로 크게 올랐다. 또 내년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전날 70%를 웃돌았던 데서 60%로 크게 하락했다.

이날 골드만삭스는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에서 최종 금리 예상치를 기존 3.00%~3.25%에서 3.50%~3.75%로 상향했다.

최종 금리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0.5%p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골드만은 연준이 내년 4분기에 금리 인하를 시작해 매 분기 1회씩 금리를 내려 2026년 2분기에 금리인하를 끝낼 것으로 예상했다.

연준은 자체 금리 전망치인 점도표에서 내년에 금리 인하를 시작해 2026년에 2.9%까지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업들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다.

월트디즈니는 전날 예상보다 강한 순이익을 발표하고 스트리밍 고객수도 크게 늘었다는 소식에 주가는 7%가량 올랐다.

암(Arm) 주가는 상장 이후 첫 실적 발표에서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놨으나 가이던스에 대한 실망에 5% 이상 하락했다.

버진 갤럭틱 주가는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19% 이상 올랐다. 리프트 주가는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도 6%가량 하락했다.

이밖에 대형 기술주 중에선 테슬라가 5.4%이상 급락했고 알파벳A가 1.2%, 아마존이 1% 등으로 내렸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국채금리 급등에 반응했다고 말했다.

DA데이비슨의 제임스 레이건은 마켓워치에 장기 금리 변동성이 최근 몇 주간 주식을 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것은 여전히 관심의 대상이며, 오늘 주식 랠리의 힘을 약간 빼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추가 금리 상승은 경제에 브레이크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 마감 시점에 연준 12월 금리 동결 가능성은 85.5%, 0.25%p 인상 가능성은 14.5%에 달했다. 전날에는 각각 90.4%, 9.6%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84p(5.81%) 오른 15.29를 기록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