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형마트 내 우유제품이 진열돼 있는 모습. 연합뉴스 |
농림축산식품부는 7개 주요 먹거리 품목의 담당자를 지정해 물가를 전담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관리 대상은 국제 원재료 가격이 대폭 오른 설탕과 우유를 비롯해 국민 식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라면, 빵, 과자, 커피, 아이스크림 등 7개 품목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전년동월 대비 14.3%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8월 이후 14년 2개월만에 최고치다.
아이스크림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2% 올랐으며, 빵은 5.5%, 과자·빙과류·당류는 10.6%, 커피·차·코코아는 9.9% 각각 상승했다.
특히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우유, 빵, 과자, 라면 등 물가가 오르는 것에 더해, 외식업체들도 라면 등의 메뉴판 가격을 제품 가격 이상으로 올려 최종 소비자의 체감 물가는 더 크게 오르는 실정이라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특히 주요 가공식품 물가를 관리할 TF를 신속히 구성해 TF 내에서 품목 담당자들이 시장 동향을 수시로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 농식품부에서 가공식품 물가는 푸드테크정책과에서 사무관 한 명이 담당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농산물의 경우 품목별로 담당이 있으나 식품 물가는 한 명이 하느라 벅찬 만큼 TF를 구성해 두 명 가량 인력 증원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방식은 지난 2012년 이명박 정부 때 쌀, 배추, 고추, 마늘,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주요 먹거리 품목을 대상으로 1급 공무원이 물가 관리를 책임지던 ‘물가안정 책임제’와 유사한 성격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정부가 개별 품목 가격을 직접 통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성과도 좋지 않은 만큼, 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가격 인상 억제를 유도하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