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홍익표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이재명 대표를 환영하는 의미로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
이 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 회의에서 "안타깝게도 정부·여당의 무능함과 무책임함으로 인해서 국민의 삶, 또 이 나라 경제가, 우리나라의 안보가, 위협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 등을 요구하며 국회에서 단식 투쟁을 하다 지난달 18일 건강이 악화해 병원 치료를 받은지 35일 만인 이날 최고위를 주재하며 당무에 공식 복귀했다.
이 대표는 윤 정부의 국정 기조 쇄신과 내각 총사퇴 요구와 관련해 "말로만의 반성이 아니라 우리 국민들에게 정부의 진정성을 확인시켜주는 핵심적인 모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의 어깨가 무겁다"며 "국민의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의 폭압으로 인해 대한민국 시스템이 붕괴하고 과거로 퇴행하는 일들을 막기 위해선 반드시 총선에서 정부의 잘못된 점을 엄히 꾸짖는 심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려면 민주당이 작은 차이를 넘어서 단결하고 단합해야 한다"며 "단결과 단합 위에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충분한 혁신을 통해 국민의 기대에 맞춰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표는 당내를 향해서는 강성 지지층과 일부 친명 지도부가 요구해온 ‘해당(害黨) 행위자’에 대한 윤리심판원 징계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어 "체포동의안 처리 과정의 일로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길 바란다"며 "국민의 삶이 절박하다. 그런 문제로 우리 역량을 소진하고 시간을 보낼 만큼 현실이 녹록지 않다"고 덧붙였다.
보선 승리 직후 페이스북 글에서 ‘우리 안의 작은 차이를 넘어 단합하자’고 표현했던 것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하고 직접적인 발언이다.
권칠승 수석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가 끝난 뒤 ‘이 대표 발언이 윤리심판원 회부도 하지 않겠다는 뜻인가’라는 기자 질문에 "윤리심판원은 당헌 당규가 가진 절차적 문제라 실무적 검토가 선행돼야 하고, 그 검토 의견에 따라 진행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뒤이어 ‘징계를 실무적으로 검토한다는 뜻인가’라는 질의에는 "아니다. 하지 않는다. 징계에 대해 논의 자체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민주당은 윤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만나는 3자 회동을 제안했다.
권 대변인은 "민생이 굉장히 어려운 가운데 그동안 정부와 여당의 야당 무시가 굉장히 심했고, 정치가 실종돼 복원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대통령이 직접 최근 민생, 정치 복원을 위해 나설 때라고 보는 게 민주당의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3자 회담 시기 등에 대해선 "실무적으로 논의해봐야 할 것"이라며 "일정을 맞추는 과정에 있어서 특정해서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윤 대통령을 향해 민생 영수 회담을 요구해왔으나,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여야 대표 민생 협치 회담’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어려운 민생을 진정 생각한다면 복귀한 이재명 대표가 내일 당장이라도 만나자고 응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아쉽다"며 "순방 중인 대통령을 포함한 3자 회동이 먼저이어야 할 ‘여유’를 국민이 어떻게 생각할까"라고 반문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아직 이 대표와 민주당이 민생을 위해 형식, 조건 구애 없이 만나자는 국민의힘과 김기현 대표의 진정성을 받아들일 여건이 성숙하지 않은 듯하다"며 "그럼에도 열린 마음으로 민주당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기대하고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