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2일 국회에서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 어두운 표정을 짓고 있다.연합뉴스 |
보궐선거 패배와 관련해 즉각적인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던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결과를 존중하고 겸허하게 받아들여 성찰하면서 더욱 분골쇄신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 당으로선 험지로서 녹록한 여건이 아니었음에도 강서구민 민심을 받들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선거운동에 임해주신 당원 동지 여러분께 당 대표로서 감사의 인사와 함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올린다"며 강서구가 더불어민주당 강세 지역이었음을 에둘러 언급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우리 당이 약세인 지역과 또 수도권 등에서 국민들의 마음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도록 맞춤형 대안을 마련하겠다"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각오로 더욱 낮은 자세로 민심에 귀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험지론’을 거듭 강조, 일각에서 제기될 수 있는 지도부 책임론 등에 선을 그은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비윤계는 이미 냉소적인 반응을 내비치며 지도부 사퇴론을 공공연히 언급하는 상황이다.
이준석계 천하람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선거 결과의) 의미를 깎아내리려고 하는 코멘트들이 대통령 측에서도 그렇고 당내에서도 벌써부터 나오고 있는 것 같다"며 "‘원래 험지다’ 이런 얘기인데. 제가 보기에는 원래 험지가 아니고 지금 정부·여당이 험지 메이커"라고 지적했다.
그는 "강서구가 지난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싹쓸이 했다라고 하지만 사실 스윙(무당층이 많은) 지역"이라며 "실제로 우리가 지난번 강서구청장도 이겼었지 않았는가, 그런데 여기가 왜 험지인가"라고 반문했다.
천 위원장은 또 "(김태우 후보 득표는) 대통령 지지율 거의 그대로 따라간 것"이라며 "대통령 지지율이 부족한 부분을 플러스 해줄 당 지도부도 없었던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심지어 저희 당의 친윤 핵심인 분도 ‘빨리 지도부가 물러나야 되는 거 아니냐, 안 그러면 지금 불똥이 용산으로 튀는 거 아니냐’ 이런 얘기를 하신다"면서 "지도부의 책임이 아니라면 결국은 대통령의 책임이라는 건데 그게 지금 용산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성격의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천 위원장은 "원래 같으면 (지도부가) 사퇴해야 될 것이라고 보여진다"면서도 "그런데 그렇게 할지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이준석 전 대표도 선거 결과가 나온 직후 페이스북에 "2020년 4월, 총선에서 보수 대결집으로 패배한 이후 서울시장 보궐 선거를 거쳐 대선과 지선을 걸쳐 쌓아올린 자산이 오늘로서 완벽하게 리셋됐다"며 "오늘의 결과는 17.87%라는 21대 총선 강서구 합산 득표율 격차에서 거의 변하지 않았다. 그 중간에 이기는 길을 경험해 봤음에도 그저 사리사욕에 눈이 먼 자들이 그걸 부정해왔던 것"이라고 일침했다.
그는 특히 "더 안타까운 것은 이제부터 실패한 체제를 계속 끌고 나가려는 더 크고 더 비루한 사리사욕이 등장할 것이라는 것"이라며 현 지도부가 대패에도 변함없이 차기 총선을 지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