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오전 국회 의안과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 요청서가 접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윤수현 기자]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이 임박했다. 오는 21일 국회 본회의에서 체포동의안이 표결에 부쳐질 것으로 예상돼 민주당은 또다시 갈림길에 섰다.
민주당 내에서는 병상에서도 단식 투쟁을 이어가는 이 대표에 대한 동정론이 커져가며 부결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다만 비이재명(비명)계 일각에서는 당초 이 대표가 선언했던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전운이 감돌고 있다. 미국 유엔총회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이 날 오전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 요구서를 재가하면서 21일 체포동의안 표결이 부쳐지게 됐다.
민주당 내에서는 병상에서도 단식 투쟁을 이어가는 이 대표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부결론이 대두하고 있다.
이 대표가 전날 병원에 이송된 지 2시간 만에 검찰이 구속 영장을 청구한 점과 단식 투쟁을 하는 야당 대표를 외면하고 체포동의안을 재가하는 윤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 극에 달하면서 부결론을 키우고 있다.
일부 친이재명(친명)계에서는 공개적으로 부결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자유투표가 아닌 당론으로 부결시켜야 된다고 보냐’는 질문에 "굳이 당론으로 가지 않아도 이심전심으로 민주당 의원 상당수가 절대 검찰에 협력할 수 없다는 데 공감한다"고 말했다.
‘체포동의안을 부결시켜야 하냐’는 질문에는 "당연하다"며 "자신의 무고함을 단식이든 부인이든 진술 거부든 변호인의 조력을 받든 무기대등의 원칙을 주장하든 자신의 무고함을, 억울함을 주장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민형배 민주당 의원도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의원들 사이에서) 부결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고 부결시켜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민심의 역풍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보수 언론과 검찰이 짜놓은 프레임"이라며 "별로 의미도 없고 크게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답변했다.
김의겸 민주당 의원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반드시 부결시켜야 한다"며 "한 표의 이탈도 없이 똘똘 뭉쳐서 부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결이 부결보다 후폭풍이 100배는 더 클 것"이라며 "가결했을 때 걷잡을 수 없는 혼란으로 빠질 것을 노리고 영장을 청구하는 건데, 호랑이 아가리에 머리를 집어넣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의 강성지지층인 이른바 ‘개딸’들도 민주당 의원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개딸들은 민주당 의원 전원에게 "부결 부탁드립니다"라는 문자를 돌리고 부결시키겠다는 답변이 온 의원들의 문자를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개했다.
반면 일부 비명계 의원들은 가결 의사를 강하게 표명하고 있다.
앞서 지난 2월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부결 이후 굳어진 ‘방탄 정당’ 프레임의 고착화를 우려하는 것이다.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 선언을 지키면 오히려 민주당이 반등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이 대표의 강성 지지자들이 ‘체포동의안 부결 인증 릴레이’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헌법상의 권리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다. 양심에 따라서 직무를 행한다고 돼 있지 않느냐"며 "국회법에도 소속 정당이 의사에 귀속되지 않고 양심에 따라 투표해야 한다고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결을 하더라도 분열의 길로 가지 않을 방법은 이 대표가 가결 입장을 직접 얘기해야 한다"며 "그래야 대국민 약속을 지키는 정당이 되고, 만에 하나 부결이 된다 하더라도 당 대표로서는 알리바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체포동의안 표결이 유력한 21일까지 검찰의 영장 청구에 대한 내부 토론을 거치기로 했다. 체포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계파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체포동의안의 본회의 통과 여부와 상관없이 표결 이후 민주당은 내홍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