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년도 업종별 동반성장 종합평가 결과. |
동반성장위원회는 18일 서울 서초구 JW매리어트호텔에서 ‘제76차 동반성장위원회’를 열고 214개 대·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작년 동반성장지수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위의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 결과를 동일 비율로 합산한 뒤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등 4개 등급으로 구분했다.
등급별로 최우수 41개, 우수 62개, 양호 73개, 보통 23개, 미흡 9개, 공표 유예 6개다.
최우수 기업에는 기아, 네이버, 농심, 대상, 삼성전자, 파리크라상, 포스코, 현대자동차, CJ제일제당, LG전자, LG디스플레이,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이 포함됐다.
롯데케미칼과 삼성SDI, 한화(건설부문), 롯데정보통신 등 4개는 처음으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중견기업 중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은 곳은 농심(5년 연속), 파리크라상(3년 연속), 대상 등 3개에 그쳤다.
이번에는 등급별로 대·중견기업을 구분해 공표했는데 대기업은 최우수, 우수 등급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고 중견기업은 양호, 보통, 미흡 등급 비중이 컸다.
평가에 참여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참여한 기업 9개에는 ‘미흡’ 등급을 부여했는데 미흡 9개는 모두 중견기업이다.
오영교 동반성장위원장은 "최우수 중견기업이 전년보다 1개 늘었지만,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수준"이라며 "중견기업의 상생 촉진 노력을 더욱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3개년 이상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최우수 명예기업으로는 삼성전자(12년), SK텔레콤(11년), 기아(10년), 현대트랜시스, KT, SK주식회사(이상 9년), LG화학(8년), 네이버, LG이노텍, SK에코플랜트(이상 7년) 등이 있다.
이번 평가에서 최우수 명예기업은 28개가 선정돼 전년보다 3개 늘었다. 평가 결과가 최우수, 우수 등급인 기업에는 공정위 직권조사 면제, 중소벤처기업부의 수·위탁거래 실태조사 면제 등 정부 차원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동반위는 법 위반 심의 중이거나 검찰에 고발된 기업 6곳에 대해서는 등급 확정을 보류하고 공표 대상에서 제외했다.
공표 대상 214개의 동반성장 종합평가 평균 점수는 66.20점이며 통신 업종이 92.41점으로 가장 높고 제조 업종이 62.18점으로 가장 낮았다.
평가 대상인 214개 기업의 협력사 1만3000여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동반성장 체감도는 평균 73.27점으로 전년(71.32점) 대비 1.95점 상승했다.
오 위원장은 "내년 공표하는 2023년도 평가에서는 ‘창의·자발적 상생활동 지원’ 지표 신설, 운영을 통해 대기업의 창의적이고 파급력이 큰 상생 활동에 대해서도 폭넓게 평가해 산업 전반에 동반성장 온기를 확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동반성장 평가와 관련해 "올해 시범평가를 하고 내년에 실제 평가해 보자는 계획에 따라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