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전기료 올려 자회사 수익 올린 한전…한전KPS 이익잉여금 1.2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14 13:57

국회예산정책처 "자회사에 과도한 비용 지급은 전기료 상승 요인"



"활동 않는 자회사에 이익잉여금 1.2조원 남기는 거 과도해 조정 필요"

2023091401000824300039551

▲서울시내 주택가 외벽에 부착된 전력량계.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윤수현 기자] 대규모 적자 탓에 전기요금 인상을 이어가고 있는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자회사에 과도한 비용을 지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병권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실장은 14일 예산정책처가 국회에서 개최한 ‘공공기관 현황과 이슈 발간 설명회’에서 "한전의 자회사 출자회사 계약 금액의 적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 실장은 "한전이 자회사에 지급하는 대금은 전기요금을 통해 회수되므로, 자회사에 과도하게 비용이 지급될 경우 전기요금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이같이 말했다.

실제로 한전 자회사는 최근 한전이 막대한 적자를 기록하는 중에도 모회사인 한전과의 거래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전 자회사인 한전KPS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979억원, 이익잉여금은 1조2021억원으로 집계됐다. 또 한국전력기술의 이익잉여금이 5465억원, 한전KDN이 4851억원 등이었다.

반면 한전의 지난해 누적 영업손실은 32조6034억원에 달했다. 지난 6월 말 연결기준 총부채는 201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겼다. 한전은 이같이 막대한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작년부터 40% 가까이 전기요금을 올렸다.

최 실장은 "특별한 투자 활동을 하지 않는 자회사에서 이익잉여금을 1조2000억원 남긴다는 것은 다소 과도한 수준"이라며 "이익잉여금을 적정 수준으로 낮추도록 적정한 금액으로 계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예산정책처는 한국가스공사의 요금 공시와 원가 산정 방식도 문제로 지적했다.

가스공사의 원료비 미수금은 지난해 말 기준 8조5856억원으로 이에 따른 이자가 올해 말까지 6091억원(누적 기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누적된 이자 비용은 가스요금 인상분에 포함되지만, 현재 가스공사는 원료비 미수금으로 발생한 이자 비용을 공시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요금 원가 산정 시에도 가스공사의 해외 지분 투자 금액이 원가에 반영되면서 가스 소비자인 국민들이 투자 리스크를 부담하고 있다고 예산정책처는 주장했다.

2012∼2019년 가스공사의 호주 해외지분 출자 금액은 3조7000억원에 달했으나 지분 투자에 따른 배당 회수액은 1000억원 미만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최 실장은 "가스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원료비 미수금에 포함되는 이자 비용과 산정 방식을 공개해 가스요금의 투명성을 높이고, 해외 지분 투자 금액이 원가에 산정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