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연체율이 17%대로 치솟았다. 아파트 재건축 현장. |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가운데 증권사 PF 대출 연체율이 17%대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달 중 가동될 PF 펀드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는 등 사업 정상화 지원에 적극 나서는 양상이다.
12일 금융위원회는 서울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PF 시장과 대주단 협약 가동 상황을 점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지난 3월 말(2.01%) 대비 0.16%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1.19%)과 비교하면 1%포인트 올랐다.
업권별로는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17.28%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10%대를 돌파한 이후 지난 3월 말 15.88%까지 치솟았고 3개월 만에 1.40%포인트가 또 올랐다.
같은 기간 보험은 0.07%포인트(0.66%→0.73%), 저축은행은 0.54%포인트(4.07%→4.61%). 상호금융은 1.03%포인트(0.10%→1.12%) 늘었다. 연체율이 0%였던 은행권도 0.23%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연체율 상승 추세는 크게 둔화했지만 고금리 상황 지속, 공사원가 상승 등 하반기에도 부동산 PF 시장 불안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지속적인 관찰·관리가 필요하다는 데 참석자들 의견이 모였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187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2곳에 대해 기한이익 부활,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만기 연장 등 정상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나머지 35곳의 사업장은 협약 적용을 통한 공동 관리가 부결되거나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행됐다.
금융당국은 이달 본격 가동을 앞둔 캠코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 조성·추진 상황도 점검했다. 캠코 PF 펀드는 PF 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펀드다. 신규 자금을 투입해 부동산 PF 시장을 정상화한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PF 펀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추가 방안을 이달 말 정부 합동 주택공급 확대 대책에 포함해 발표할 예정이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