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 |
김 의원은 이날 입장문에서 "이복현 원장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소하고,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했다"며 "허위공문서 작성, 공무상 비밀 누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명예훼손, 직권남용 등 모든 죄를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저와 관련한 금감원의 특혜성 환매 발표는 총선을 앞둔 민주당 흠집내기 정치공작이었음이 명백히 밝혀졌다"며 "이복현 금감원장이 저와 약속한 대로 공개적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해주기를 바랐지만, 금감원장은 끝끝내 사실을 밝히지 않고 초지일관 거짓말로 일관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저와 이복현 원장과의 대화 내용을 포함한 모든 자료는 법원에 증거물로 제출할 것"이라며 "이번 사건은, 공정한 금융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금융피해자들의 눈물을 닦아줘야 할 금융감독원을 검사 출신 원장이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나아가 라임 사태 피해자들의 피눈물까지 악용한 윤석열 정부의 무도한 정치공작"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는 민주당과 저의 정치 인생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끝까지 싸워 반드시 이길 것"이라며 "공수처와 법원이 진실을 밝혀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금감원은 라임자산운용이 2019년 10월 대규모 환매 중단을 선언하기 직전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 자금을 이용해 일부 유력 인사들에게 환매를 해줬다고 발표했다. 이 중 다선 국회의원 A씨가 2억원을 돌려받았다고 발표했다. 이후 한 언론은 A씨가 김 의원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자신이 보유한 펀드는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진 펀드와 다르고, 자신은 환매 과정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