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양성모

paperkiller@ekn.kr

양성모기자 기사모음




주식부자 상위 10명, 배당소득만 2조3000억원…1명당 2329억, 3년새 2배 증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07 15:37

고용진 의원 "주식 등 자산불평등 구조 해마다 악화돼"

don-3565703_1280

▲사진=픽사베이 제공

[에너지경제신문 양성모 기자] 주식 보유 기준 상위 10명이 받은 배당소득이 2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명당 2300억원이 넘는 규모로 3년새 2배가 증가한 수준이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노원갑)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배당소득 천분위 현황’에 따르면 주식을 가진 상위 0.1%가 전체 배당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식시장이 호황이던 2021년 개인이 받은 배당소득 총액은 30조7977억원으로 전년(28조566억) 대비 9.8%(2조7411억)가 증가했다. 배당을 받은 주식투자자는 1605만명으로 전년(1123만)에 비해 43%(482만명)가 급증했다.

특히 상위 10명의 배당소득 총액은 2조3286억원으로 집계됐다. 1명당 2329억원을 받은 셈이다. 전년(1383억)보다 1명당 946억원씩(68.4%) 주식배당을 더 가져갔다. 상위 10명의 주식 배당액은 2018년 처음으로 1조원을 넘었고, 해마다 급증해 3년 만에 2배가 증가했다. 이들 상위 10명의 배당소득 점유율은 7.6%로 전년보다 2.7%포인트 상승했다. 이들은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 등 대부분 재벌총수로 알려져 있다.

상위 100명의 배당소득 총액은 4조7619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3443억원(39.3%)이 늘었다. 배당소득 점유율은 15.5%로 1년 전보다 3.3% 포인트 상승했다. 상위 1000명의 배당소득 총액은 8조6137억원으로 전체 배당소득의 28%다.

또한 상위 0.1%(1만6054명)는 전체 배당소득의 49.1%(15조1120억)를, 상위 1%는 전체 배당소득의 70.1%(21조5749억원)을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의 배당소득 점유율은 93.2%다.

극소수 주식부자들의 배당소득 점유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상위 10명 및 상위 100명이 늘어난 배당소득을 전년도 점유율보다 더 많이 가져가고 있어 배당소득 쏠림현상이 더 심해지고 있다는 게 고용진 의원의 지적이다.

반대로 상위 10%를 제외한 하위 90%(1445만명)의 일반 개미투자자들 배당소득은 2조855억원으로 1인당 평균 14만원에 불과했다. 그 중 하위 50%(803만명)의 점유율은 0.2%에 불과하다. 한사람 당 7941원으로 1만원이 채 되지 않는다. 다만 1년 전(7120원)보다 721원 증가한 금액이다.

고용진 의원은 "주식 소유자 상위 0.1%가 전체 배당소득의 절반을 가져가고 있다"면서 "주식 등 자산불평등 구조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산불평등이 소득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고액자산가들에 대한 과세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