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투바이오 CI |
[에너지경제신문 강현창 기자]농심그룹에 4번째 상장사가 추가될 전망이다. 코넥스 등록기업 유투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유투바이오는 농심그룹 신춘호 초대회장의 삼남 신동익 부회장이 메가마트를 통해 거느리고 있는 회사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유투바이오는 이번 상장을 위해 신주 112만8720주를 발행한다. 공모예정가는 3300~39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37억~44억원 수준이다. 유투바이오는 상장으로 마련하는 자금을 신사업 발굴과 의료정보 관련 기업의 인수합병에 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벤처 1세대의 코스닥 재입성 도전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유투바이오 입장에서 상장이 절실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다. 일단 재무적으로 현금이 급하지도 않을뿐더러 상장으로 마련하는 자금 수준이 영업을 통해 벌어들이는 자금 대비 크게 적다.
유투바이오는 지난해 사업보고서 기준 총 자산 510억원에 부채는 171억원 규모다.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 모두 100억원 넘게 쌓여있어 유동선과 관련된 문제점은 확인되지 않는다. 매출은 지난해 690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 157억원, 당기순이익은 13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영업활동으로 만든 현금만 244억원에 달한다.
시장에서는 유투바이오가 상장을 하는 가장 큰 이유를 김진태 대표에서 찾고 있다. 김 대표는 유투바이오의 창업자로 지난 2021년 농심 측에 최대주주 자리를 넘겨준 뒤에서 계속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김 대표는 국내 벤처 1세대로 불리는 일명 ‘메디슨 사단’의 일원이다. 국내 벤처업계의 기틀은 고(故)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가 지난 1985년 설립한 메디슨에서 100명이 넘는 창업자가 쏟아진 덕분이라는 게 업계의 정론이다.
메디슨에 재직 중이던 김 대표는 사내 벤처로 유비케어를 창업한 뒤 1997년에는 코스닥에 상장도 했다. 스승으로 모시던 이 교수가 코스닥 시장을 설립한 직후다. 이후 메디슨의 부도 이후 2008년 SK케미칼에 지분을 넘겨준 뒤 지원없이 독자적으로 설립한 곳이 유투바이오다.
코스닥의 태동을 가까이서 지켜보고 참여도 했던 김 대표 입장에서는 회사를 설립하고 코스닥 상장에 나서는 것이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게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농심그룹 계열분리 앞당기나
한편 유투바이오의 코스닥 상장은 농심그룹 입장에서도 의미가 깊다. 농심그룹이 공시대상집단기업(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된 이유가 바로 유투바이오의 대주주가 됐기 때문이다.
공정거래법에 따라 자산 5조원 이상 기업집단은 공시의무 대상 기업집단으로 사익편취 규제가 적용된다. 그동안 농심은 자산 기준에 미달해 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지난 2021년 유투바이오를 그룹에 편입한 뒤 자산이 5조원을 넘어버렸다.
이에 공정위는 지난해부터 농심을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신규 지정했다. 지난 2008년 정부가 대규모 기업집단 기준을 자산총액 2조원에서 5조원으로 늘리면서 농심을 대기업 집단에서 제외된 지 14년 만이다.
현재 농심그룹은 올 1분기를 기준으로 농심홀딩스를 지배회사로 상장사 3개, 해외법인 포함 비상장사 38개 등 41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이들 간 거래 비중은 최대 63%에 달한다.
이를 해소할 방법 중 가장 유력한 것은 계열분리다. 농심그룹은 신동원 농심 회장과 신동윤 율촌화학 부회장, 신동익 메가마트 부회장 등 3형제가 나눠서 지배하고 있다. 형제 전부나 일부라도 계열분리를 할 수 있다면 다시 규제대상에서 빠질 수 있다.
이에 가장 유력하게 점쳐지는 것이 신동익 회장의 분리다. 신 부회장 입장에서는 본인이 주도한 유투바이오의 편입으로 그룹 전체가 규제 대상이 된 것에 대한 책임도 있다. 이번 유투바이오의 코스닥 상장이 마무리되면 계열분리에 대한 부담도 크게 적어질 수 있다. 신 부회장만 현재 3형제 중 상장사를 거느리지 못한 상태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상장을 하면 아무래도 회사의 규모가 더 커지기 때문에 규제 탈피가 더 어려워진다"며 "결국 유투바이오의 상장도 농심그룹의 계열분리 가능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