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에너지 전환=기업에 부정적" 인식 높아져…에너지 공급 증가 요청 늘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07 14:32

외교부,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 ‘독일 에너지 전환 2023’ 결과 분석



"러-우 전쟁 후 에너지가격 상승이 독일기업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

2023090701000416300019701

▲호주 프렐류드 FLNG 생산 현장.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에너지 전환에 대한 기업들의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안보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전환에 있어서도 정책의 예측 가능성과 신뢰성 부족 등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외교부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가 분석한 ‘독일 에너지 전환 2023’ 결과에 따르면 에너지 전환 및 기후보호 이행에 관한 독일 기업의 설문조사서 올해가 최악의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참여기업의 52%(매우 부정적 20%, 부정적 32%)는 에너지 전환이 자사 비즈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13%(매우 긍정적 4%, 긍정적 9%) 기업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에너지 집약 산업에서는 응답 기업의 3/4이 에너지 전환이 경쟁력에 부정적이라고 답변했다.

제조업 기업의 해외로의 생산시설 이전은 2022년 조사 대비 두 배 가량 높아졌다.

에너지 전환으로 인해 제조(산업) 기업의 약 1/3(31.7%)이 해외로 생산시설을 이전하거나 독일 내 생산량을 줄이고 해외 생산량을 늘리는 것을 계획 또는 실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 조사 당시 16%보다 두 배 가량 늘어난 수치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대기업(직원 500명 이상)에서 두드러졌다. 응답 대기업의 43%가 이미 해외 이전을 계획 또는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전환의 장애물로는 에너지 정책의 예측 가능성과 신뢰성 부족(5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지나친 관료주의가 58%, 느린 인허가 46%, 기술부족 34%, 높은 에너지가격 30%, 어려운 자본조달 15% 순으로 에너지 전환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독일상공회의소는 정부에 △에너지 공급 증가를 통한 에너지 가격 하락 △수소 활용 확대 △예측 가능성 향상 △관료주의 감소 △전력망 구축 등을 요청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직접공급계약(PPA)에 대한 투자 보조금을 통해 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추가 용량을 늘리고, 전기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세금 및 네트워크 수수료 인하 정책 등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또한 수소 인프라 확장, 수입 확대 전략 및 이를 위한 잠재적 공급 국가와의 에너지 파트너십 확대, 관련 표준 확립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는 "에너지 전환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그로 인한 에너지가격 상승과 맞물려 독일 기업 경쟁력에 상당히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