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광온 원내대표가 1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후쿠시마 핵물질 오염수 해양투기 비상행동 결과보고’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 |
그러나 당장 민주당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지도부와 친명 그룹부터가 명확한 단식 이유와 해제 조건을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저도 사실 (이 대표 단식 계획을) 몰랐다"며 "(단식) 기자회견장에서 당 대표께서 말씀하신 것을 듣고 (알았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 대표가 단식에 나서게 된 계기에는 "민생경제가 파탄에 이르렀는데 어느 날 보니까 (정부가) 민생은 돌보지도 않고 이념으로 폭압 정치를 하고 있는 모습에 결사 항전의 의지를 담아 단식에 돌입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대표가 단식을 통해 요구하는 조건, 이른바 단식 해제 조건과 관련해서는 "지금 단식에 들어갔는데 단식 철회를 얘기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 것 같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조건을 단다는 것은 무의미한 것 같다. 지금 단식의 명분이 있지 않는가"라며 "지금 상황이 얼마나 엄중한지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도 분명히 있는 것이기 때문에 윤석열 정권이 얼마만큼 현실 인식을 하고 있는지 지켜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표는 전날 입장문에서 정부에 △ 민생파괴 민주주의 훼손에 대한 대통령 국민 사죄 △ 일본 핵 오염수 방류에 반대 입장을 천명하고 국제해양재판소에 제소 △ 전면적 국정쇄신과 개각 단행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친명계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이들 요구 조건이 "(단식 해제) 요구사항은 아니다"라며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안일 뿐이지 단식 해제에 대한 조건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국 해법에 대한 제안일 뿐 단식 해제 조건을 제시한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장 최고위원은 "그동안에 단식할 때 ‘어떻게 하면 단식을 해제할 것인가’ 정도로만 생각하시는데 국회에 대한 최소한의 입법권을 보장해 달라는 정도의 기본적인 요구사항들이 있었던 것"이라며 "여러 의혹들과 문제들에 대해 기본적인 입장의 변화를 얘기를 수차례 해왔다"고 말했다.
결국 ‘핵심 사안 관철’을 위해 최후의 카드로 사용됐던 기존 단식의 의미를 ‘정부 태도 변화 촉구’ 목적으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특히 그간 야당 단식은 의석수나 대통령 거부권 등의 문제로 특정 사안에 대한 법적 저지 수단이 없을 때 사용돼 왔다.
반면 이 대표 단식은 국회 과반 의석을 가진 상황에서 구체적 해제 조건 없이 ‘태도 변화’라는 모호한 개념이 바탕인 것이다.
국민의힘도 이 점에 주목해 파상공세를 퍼붓고 있다.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단식은 본인이 법적으로 (저항)할 수 없을 때 할 수 있는 최후의 저항 수단 아니겠는가"라며 "지금 이재명 대표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 본인의 검찰 수사를 회피하기 위한 꼼수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본인이 정말 제대로 단식을 한다면, 소금이라든지 물만 먹고 단식을 해야 되는데 지금 보면 텐트에 있다가 잠은 대표실에서 자겠다고 이야기하지 않는가"라며 "당무라든지 국회 일정은 제대로 보겠다고 하는데 과연 정말 100% 순수 단식인지 한번 생각을 해 봐야 된다"고 의혹도 제기했다.
고령에 지병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 대표가 단식을 정직하지 않게 진행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이밖에 민주당 비명계 역시 당 대표가 최후의 카드를 뽑아들었음에도 반응이 ‘미지근’한 상황이다.
비명계 모임인 ‘민주당의길’(민길)은 이 대표가 단식투쟁에 돌입한 전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2주 연속 공개행보를 이어갔다.
이와 관련해 모임 간사인 김종민 의원은 "(단식과 토론회가 겹친 것은) 완전히 우연이다. 연결되는 고리는 하나도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의원회관 토론회는 사전 공지되는 만큼, 일정은 이 대표와 비명계가 협의 하에 조정할 수 있었다.
김 의원은 해명을 사실로 보더라도, 이 대표가 비명계 토론회를 알고도 단식 사실을 알리지 않았고 비명계가 이를 뒤늦게 인지한 뒤에도 공개 일정을 강행한 셈이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