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가 증설 예정인 성서 열병합발전소 조감도. (한국지역난방공사 제공) |
31일 에너지 업계 등에 따르면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대구열병합발전소를 기존 중유에서 천연가스로 전환해 발전키로 결정하고,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거쳐 친환경 발전소 운영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발전연료를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중질유에서 천연가스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가스 압력을 낮추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정압관리소와 가스 배관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데 이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는 실정이다.
당초 가스공급 주최인 한국가스공사는 대구 성서지역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와 가까운 달서구 갈산동에 부지를 매입해 정압관리소 신설을 추진했다. 이후 시공성, 운영성, 보안성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기존 달서 정압관리소 보다는 현재의 중리 정압관리소를 이용하는 게 좀 더 합리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정압관리소 시설 증축 계획을 달서에서 중리 정압관리소 증축으로 변경했다.
중리 정압관리소에서 성서 열병합발전소로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지하에 약 8km 길이의 공급용 가스 배관을 매립하는 계획도 함께 세웠다.
하지만 서구 주민들의 공급관리소 증설 반대와 함께 향후 가스 공급배관이 지나가게 되는 서구 및 달서구 주민들의 배관건설 반대에 부딪히며 난항을 빚고 있다.
천연가스 시설 증설공사가 시작도 못한 상황에서도 지역난방공사의 열병합발전소 개체 사업은 8월 현재 78%에 가까운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발전소로 증설을 완료 후에도 정작 가스 공급시설은 증설하지 못하게 되면서 가스 공급 차질은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천연가스 공급시설 건설 지연에 따른 추가공사 등으로 수백억원 규모의 재무적 피해도 예상된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사업 시행 주최인 지역난방공사, 가스공사는 물론 인허가청 및 기초의회, 대구시, 지역 도시가스 공급회사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통한 중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천연가스 공급시설 건설 지연으로 인해 적기 가스공급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다가오는 겨울철 혹한기에 안정적인 지역난방 공급까지 심각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역주민과 사업 시행자들의 갈등 상황에서도 뒷짐만 지고 있는 정치권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치권에서는 사업 지연과 가스공급 차질로 인해 치르게 되는 역효과에는 눈 감은 채 지역주민들의 갈등에 편승하며 지역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9년 6월 개체사업을 통한 열병합발전소 증설 허가에도 불구하고 사업은 4년 간 표류 중이다. 사업허가 취가 취득 당시의 목적은 대구지역 대기환경 개선에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대구 열병합발전소 친환경에너지 개선사업은 지역사회와의 논의와 협의를 거쳐 추진한 사업이며, 당시 친환경에너지 개선사업을 조속히 마무리 해 달라는 지역주민의 요청에 따라 2019년 산업부로부터 사업허가를 취득했다"면서 "환경개선은 물론 자칫 안정적인 가스공급까지 차질을 빚게 될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이해관계자 모두 한발씩 양보한 대승적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