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가스공사, 수소사업 손 떼나…해외법인 활용계획도 전면 보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23 17:49

해외 현지법인 목적사업 중 수소사업 삭제, 호주법인서 인력 철수
유통전담기관 업무도 이양 계획, 초기 ‘수소사업 로드맵’ 유명무실

천연가스 생산기지 현장

▲천연가스 생산기지 현장.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수소사업 육성을 발판 삼아 지속 성장을 추구하는 종합 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한국가스공사의 사업 비전이 퇴색해 가는 모양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정부 협의를 거쳐 향후 선정되는 제2의 수소산업유통전담기관에 수송용 수소사업 부문을 대거 이양할 계획인 가운데, ‘해외 현지법인을 활용한 청정수소사업 계획’은 전면 보류 또는 백지화를 추진 중이다.

국민 난방비 부담 완화와 부채비율 감축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라는 막중한 과제 이행이 자금 투입이 동반되는 수소사업 추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게 그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주요 역점사업 중 하나였던 수소사업이 윤석열 정부 들어 동력을 상실하면서 가스공사의 수소사업 추진 의지에도 찬물을 끼얹었기 때문인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앞서 열린 제556차 이사회에서 ‘해외 청정수소사업 추진을 위한 현지법인 활용방안 변경(안)’을 원안 의결했다.

이사회 의결을 통해 가스공사는 현지법인의 목적사업 중 수소사업을 삭제하고, 해외 현지법인에 대한 수소사업 전담인력 파견 및 타당성평가 용역시행 역무를 삭제했다. 사실상 해외 현지법인을 활용한 청정수소사업 계획을 국내에서 기초조사 하는 것으로 조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호주법인에서 액화수소 관련 사업을 추진해 왔던 인력들은 이사회 의결 후 모두 본사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스공사 한 관계자는 "현재 액화수소에 대한 기술이 국내외적으로 크게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해외에서 액화수소의 국내 도입을 위한 가스공사의 사업 추진이 현 시점에서는 너무 성급했던 것"이라고 평가했다.

가스공사는 수소유통전담기관으로서 수행하는 역무 중 수송용 수소사업 부문을 향후 제2의 전담기관에 모두 이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련 전담기관 선정 공모가 진행 중이다.

신규 수소산업유통전담기관이 선정되면 연료전지사업 등 발전용, 산업용 수소사업 부문만 가스공사에 남고 수송용 사업부문은 신규 지정 기관에게 넘어가게 된다. 이 경우 가스공사의 사업 축소는 당연한 수순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가스공사는 향후 수송용 수소사업의 주요 역무 중 하나인 튜브트레일러 지원 사업 중단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가스공사는 지난 2019년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 발표를 통해 총 4조7000억원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전국에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100기 구축, 2030년까지 수소생산기지 25개소 및 수소배관 총 1740km를 건설하는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 사업에 총 2조2000원, 해외 수소제조 등 수소수입 관련 사업에 2조5000억원을 투자해 공공기관으로서 수소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천명한 바 있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