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강현창 기자] 상장 리츠의 부진이 길어지고 있다. 상장 리츠는 지난해까지 큰 인기를 끌었다. 부동산 자산을 토대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까지 노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상장 리츠 시장은 그야 말로 겨울이다. 운용하는 부동산 자산은 늘었지만 주가는 떨어지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상장된 리츠는 총 23개다. 대부분이 올해 들어 큰 폭의 주가 하락을 겪고 있다.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낙폭을 기록 중인 리츠는 마스턴프리미어리츠로 25.3%가 넘게 떨어졌으며 뒤이어 SK리츠 22.4%, KB스타리츠 21.3%의 낙폭을 기록하고 있다.
그 밖에 미래에셋글로벌리츠와 신한서부티엔디리츠, 미래에셋맵스리츠, 디앤디플랫폼리츠, 이지스밸류리츠, 롯데리츠 등 대형리츠를 중심으로 10%가 넘는 낙폭을 보이는 중이다.
리츠는 특성상 부동산 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리고 부동산 시장은 기준 금리에 민감하다 시중의 유동성이 곧바로 시장의 활성화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부동산 시장과 연계하는 리츠는 올해 2분기 기준금리 인상 종결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반짝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곧바로 분위기가 반전됐다.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의 경기가 너무 좋기 때문이다. 미국이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속도를 줄이지 못하면서 추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리츠 입장에서는 악재다. 미국 부동산 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제이알글로벌리츠, 이지스레지던스리츠, 이지스밸류리츠 등은 물론 유럽 등에 투자하는 KB스타리츠와 마스턴프리미어리츠 등에도 악재다. 그리고 그 여파는 국내 부동산 시장에 투자하는 리츠들에도 확산된다.
여기에 최근에는 악재가 하나 더 생겼다. 바로 중국이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가장 큰 손인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이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빠지면서 업계 전반으로 위기가 확산되는 중이다. 최근에는 중개 수수료를 미납하고 세금을 연체하는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다. 아예 최근 홍콩 금융 당국은 ‘비구이위안’을 항셍지수의 구성종목에서 빼버렸다.
주요 2개국(G2)의 위기가 계속되면서 국내 상장 리츠는 외형적인 성장은 하고 있지만 주가는 부진한 상황이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리츠가 운용하는 부동산 자산의 규모는 14조원대였지만 최근 21조원대로 50% 이상 늘었다. 하지만 이 기간 국내 리츠의 시가 총액은 7조5000억원 대에서 7조6000억원으로 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3개의 상장리츠가 추가됐다는 점에서 사실상 시총이 줄어든 것이다.
한편 이런 상황을 두고 오히려 투자 적기가 왔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산이 늘어난 만큼 성장세가 뚜렷하고 내재적인 리스크가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 따른 주가 하락이라는 것이다.
리츠의 주가가 부진한 가운데 배당 수익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점도 투자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리츠는 특성에 따라 1년에 최소 2차례에서 4차례 배당을 실시한다. 지난해 상장 리츠의 배당수익률은 7.8%에 달한다.
배상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상장 리츠 시장은 단기 방향성은 금리에 흔들리는 국면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평가됐다"며 "최근에는 사옥 용도를 목적으로 하는 부동산 거래가 발생하면서 매각가격을 높이고 있어 리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