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성우창

suc@ekn.kr

성우창기자 기사모음




증권업계 늘어난 전산운용비에도 전산장애는 '여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22 15:25

10대 대형사 전산운용비 전년 대비 10% 증가했지만



전산장애 민원 74건… 작년 IPO 이슈 제외 수치와 비슷



대신증권 33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업계 최다 불명예



STO 등 신사업 앞두고 불안 증가..."인프라 투자 필요"

2023082301001163000055741

▲여의도 증권가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국내 자기자본 상위 10대 대형 증권사들의 전산운용비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전산오류 발생 건수는 크게 감소하지 않아, 올해도 총 70여건의 전산장애 민원이 접수됐다. 이에 향후 토큰증권(STO) 등 증권사 플랫폼 이용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서버 인프라 투자를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산운용비란 전산시스템 운영·사후 관리·인건비·회선비·수선비·고객정보보호 등에 사용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자기자본 상위 10대 증권사들의 전산운용비는 총 2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368억원) 대비 9.8% 증가한 수치다. 가장 많은 금액을 지출한 곳은 주식 위탁매매 시장 점유율이 큰 키움증권(476억원), 삼성증권(455억원), 미래에셋증권(396억원) 순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10개사의 전산운용비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한 가운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인 곳은 신한투자증권(24.89%), KB증권(22.07%), 하나증권(18.13%) 등이었다. 최근 STO 도입을 두고 각 증권사가 관련 플랫폼 마련에 나서거나, 내부 전산망을 개선하는 등 디지털 전환 움직임이 가속화된 것이 전산운용비 증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단 늘어난 전산운용비에 비해 올해 증권업계 전산장애 오류는 여전해, 각 증권사가 서버 인프라 투자에 관심이 적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개인 투자자의 주식 거래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향후 대체거래소(ATS), STO 등 디지털 신사업으로 증권사의 전산망에 더 많은 트래픽이 몰릴 것으로 예상돼 투자자들에 큰 불편이 끼쳐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금융투자협회 기준 올 상반기 대형사 10곳의 전산장애 민원 건수는 총 74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783건) 대비 급감한 수준이다. 그러나 작년 상반기 중 약 687건이 사상 최대 규모 기업공개(IPO) 건이었던 LG에너지솔루션 일반 청약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제외한 건수는 96건으로 비슷한 수치며, 작년 하반기(69건)보다는 오히려 늘었다.

이 중에서도 대신증권(33건)이 가장 많은 민원 수를 기록했다. 대신증권은 작년에도 599건의 민원을 접수받아 증권업계 최다를 기록한 바 있다. 이밖에 작년 단 한건의 민원도 받은 바 없는 키움증권에 대해서도 올해 1건의 민원이 접수됐다.

이에 대해 대신증권 관계자는 "작년 LG에너지솔루션 IPO 과정에서 발생한 민원이 올해 1분기까지 이어졌다"며 "올해 유의미한 전산오류 건은 없었다"고 밝혔다.

금투업계 한 관계자는 "회사마다 재무제표에 계상하는 항목이 조금씩 다르기에, 전산운용비가 증가했다고 해서 전산오류 발생에 영향이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며 "향후 사태에 대비해 각 증권사들이 서버 확충이나 클라우드 플랫폼 확보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u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