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낙도 보도기사(제공-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
경북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지역으로 이번에 독립유공자로 선정된 19명이 서훈을 받으면서 경북(대구)의 독립유공자는 2474명으로 전체 17848명의 13.86%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번에 새롭게 서훈을 받게 된 독립유공자 유형을 보면 일본방면과 국내항일 분야에서 건국훈장 애국장으로 백락도(김천), 건국훈장 애족장으로 이재상(달성)이 각각 선정됐다.
3.1운동 분야에서는 서병지(대구), 김용하(대구), 권순보(미상), 고창언(대구), 양수암(대구), 이재성(예천), 이좌형(예천), 장기원(예천), 김한석(달성), 이광월(김천), 양경수(경주), 배옥성(상주), 한규성(영덕), 김요원(영주), 김학서(칠곡) 15명, 학생운동 분야에서는 양삼식(대구), 박수익(의성) 2명이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 |
▲이좌형 판결문(제공-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
이 두분은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이 펼치고 있는‘경북의 독립유공자 발굴사업’으로 당시 작성된 판결문·신문·일제측 기록 등에서 독립운동 활동내용을 찾아내어 국가보훈부에 포상 신청해 확정된 분들이다.
한희원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장은 "앞으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한 분의 독립운동가라도 더 찾아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은 광복 후 지금까지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의 공훈을 찾아내기 위해 2020년도부터 경북의 독립유공자 발굴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현재까지 총 525명을 발굴해 국가보훈부에 259명을 포상 신청하였고, 53명이 정부로부터 포상을 받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jjw580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