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하늘

yhn7704@ekn.kr

윤하늘기자 기사모음




테마주에 휘둘리는 증시…증권가선 "반도체株 반등 신호 보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7 16:01

초전도체주 전일 상한가 이후 하루만에 줄줄이 하한가

네이처 "초전도체 아니라는 증거" 밝히자 롤러코스터

증권가 테마주 경고 속 반도체주 주도주 부상 전망

수급은 이동중이지만 반도체 주가 지지부진 딜레마

2023080601000293000013671

▲초전도체와 2차전지 등 테마주로 증시가 요동치고 있다. 연합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초전도체와 2차전지 등 테마주로 증시가 요동치고 있다. 이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이유 없이 급등락하는 테마주에 휩쓸리면 위험하다고 경고하며 반도체 등 성장성이 확실한 종목에 주목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초전도체주 급락… 테마 주의보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초전도체 테마주는 최근 급등락을 반복하는 중이다. 전일 상한가를 기록했던 서남은 이날 29.99% 하락한 7330원으로 마감했다. 원익피앤이와 모비스는 각각 29.99%, 27.04% 추락했다.

초전도체 테마주로 분류되는 LS전선아시아와 고려제강도 각각 29.98%, 22.22%, 떨어졌다. 다만 신성델타테크는 전일 대비 7900원(15.19%) 오른 5만99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신서엘타테크 주가는 장중 6만490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초전도체 테마주가 급락한 이유는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LK-99’는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기사를 발표하면서다. 16일(현지시간) 네이처는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증거를 찾았고 실제 특성을 명확히 했다"며 "황화구리 같은 불순물이 부분적으로 발생한 부상의 원인이었고, 이것이 초전도체가 나타내는 특성과 유사했다"고 밝혔다.

‘LK-99’가 초전도체가 맞는지에 대한 여부는 여전히 확실하진 않다는 시장의 판단도 있다. 일부 종목은 초전도체와의 연관성을 직접 부인하고 있지만, 급등락세를 저지하긴 힘든 모습이다.

앞서 신성델타테크는 14일 "최근의 현저한 시황변동과 관련하여 별도로 공시할 중요한 정보가 없다"고 답변했다. 서남도 "상온 초전도체와의 연관성이 없다"며 초전도체 테마주로 묶이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대주주들의 탈출도 이어지는 중이다. 서남은 14일 최대주주가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에서 문승현 대표(지분율 9.47%)로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서남 측은 "기존 최대주주인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외 1인이 보유 지분 10.09% 전량을 장내 매도해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설명했다.

강진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초전도체 테마주들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2~4배 급등했고 최대주주가 지분 매도에 나서고 있는 점도 살펴봐야한다"며 "초전도체 종목 대다수가 사업·실적 등에 불확실성이 있는데다, 네이처가 LK-99의 초전도성을 부정한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캡처


◇ "반도체 주목"…새 주도주로 추천


증권가에서는 테마주 쏠림 현상으로 인해 관심이 줄어들었던 반도체 종목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과 이달 증시를 달궜던 2차전지 종목에서 자금이 빠지고 반도체 종목으로 옮겨가는 상황이 이어지면서다.

실제 이달 들어 개인투자자 순매수 상위 종목 1위는 삼성전자로, 순매수 금액은 8411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2차전지 테마주로 꼽힌 포스코홀딩스는 5656억원을 기록했다. 7월 17일부터 31일까지 포스코홀딩스 순매수액 4조3759억원과 비교해 3조38103억원 줄어들었다.

수급은 이동하고 있으나, 반도체 종목 주가는 여전히 부진하다. 삼성전자는 이달 들어 6.3% 하락했다. SK하이닉스도 7.9% 떨어졌다.

그럼에도 증권가에서는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는 평균치는 9만1190원이다. SK하이닉스는 14만2000원 수준이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 5월 이후 반도체 종목은 충분한 주가 조정이 진행됐다는 판단 하에 3분기 D램, 4분기 낸드 업황 개선(턴어라운드)에 기반한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며 "삼성전자의 경우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등에 대한 기술 경쟁력이 재부각되며 하반기 주가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yhn77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