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잼버리로 부산 엑스포 물 건너가? 김한규 "노력 하라고" 하태경 "한국 멘탈아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4 10:46
경주 찾은 독일 잼버리 대원들

▲경북 경주시 골굴사에서 템플 스테이 체험에 앞서 안내 팸플릿을 살펴보는 독일 잼버리 대원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이 "잼버리 사태로 부산 엑스포도 물 건너갔다"는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엑스포를 제대로 준비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한 발언이라는 해명을 내놨다.

그러나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김 원내대변인 발언이 "대한민국 사람의 멘탈(정신)이 아니다"라며 거듭 맹비난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1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이번 잼버리 개최가 부산 엑스포 유치에 도움이 돼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잼버리가 어떻게든 마무리가 됐다고 스스로 위안한다고 해서 끝날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엑스포)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여당도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고 비판도 수용하고 문제가 있다는 걸 인식해야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할 거 아닌가"라며 "제가 사실상 물 건너갔다고 표현을 (한 것은) 그만큼 강하게 질타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하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김 원내대변인) 멘탈이 대한민국 사람 아닌 것 같다"며 "마치 사우디하고 한국이 축구 경기를 하는데 ‘한국 져라’ 이러고 있는, 대한민국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고 해서는 안 되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런 것은 빨리 사과를 해야 (된다)"며 "민주당도 대한민국의 정당이지 않나, 대한민국 안 정당인데 이런 말씀 하시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잼버리 사태가 엑스포에 줄 영향에 대해서도 "시작은 미약했지만 끝은 창대했다고 말씀드리는 게 여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평가가 중요한데, 어쨌든 위기 수습 능력이 있다는 걸 보였지 않나"라며 김 원내대변인과 시각차를 보였다.

그는 특히 "(전라북도 부안군 새만금에서 열린 잼버리는) 입지 선정을 잘못한 것"이라며 "근데 부산이라는 입지가 잘못된 입지가 아니지 않나. 엑스포는 사람들이 숙박하는 상황이 아니라서 완전히 성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변인과 하 의원은 잼버리 책임 주체와 관련해서도 입장 차가 선명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전북도가 물론 조직위의 결정을 집행하는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에 역시 책임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면서도 "그렇지만 분명히 이건 국가적 행사이기 때문에 정부의 책임이 더 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정부 부처 가운데서는 "정부의 책임의 상당수는 분명히 여성가족부가 맞다"며 "조직위는 여가부에 인가받아 설립되고 공무원이 파견돼 일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여가부 출신이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하 의원은 "(잼버리 책임은) 100% 전북"이라며 "부산엑스포 유치를 했는데 만약에 잘못됐으면 가장 큰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 서울에 있나? 부산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잼버리 유치를) 전북과 강원도가 서로 경쟁했다. 그래서 전북이 가져간 것"이라며 잼버리 부지 선정 책임을 거론했다.

또 "조직위원장이 여러 명 있을 때 실제 권한은 집행위원장한테 있다 집행위원장은 전북도지사"라며 샤워장 등 관련 시설 관리 책임도 지적했다.

하 의원은 "잼버리 때문에 90번 이상을 전북도에서 (해외 출장을) 갔고, 이런 것도 전북도가 주도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며 "철저하게 감사를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이 주장한 잼버리 국정조사에는 "찬성한다"면서도 "만물 대통령 환원론 이런 건 이제는 좀 지양해야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국가의 최고 책임자로서 작은 일 하나에도 대통령이 도의적인 책임을 느끼고 하는 건 타당하지만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메시지를 대통령이 해서는 안 된다"며 "그리고 실질적인 책임 있는 전북도지사가 가장 큰 사과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과거에 세월호도 그렇다. 미국 같은 경우에는 해상 사고가 나면 그 동네의 해경이 책임을 진다. 사실 우리나라 법적으로 그렇게 돼 있다"며 "갈수록 지방자치 시대이기 때문에 지방 주도 행사들이 굉장히 많다. 분권 시대에 지방 스스로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