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도지사 사진제공=페북 캡처 |
김 지사는 이날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이같이 언급하면서 "제도와 문화, 오랜 관습을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글에서 "‘삶’을 위해 나간 일터에서 우리의 이웃들이 ‘죽음’을 맞고 있다"면서 "한 제빵 공장에서 일하다 사고를 당한 50대 여성 노동자가 끝내 숨졌으며 그분은 누군가의 아내요 사랑스러운 어머니였다"고 적었다.
김 지사는 이어 "작년에도 산재 사망사고를 내고 국민적 지탄을 받았고 경영진이 대국민사과와 재발방지를 약속한 회사였다"면서 "이 회사 공장에서는 최근까지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았다"고 했다.
김 지사는 또 "9일에는 안성의 한 상가건물 공사 현장이 무너지면서 두 분이 숨지고 한 분이 중상을 입었으며 숨진 두 분은 베트남 국적의 젊은 형제였다"며 "지난 6월 하남시의 한 대형할인점에서 카트를 옮기던 서른 살 청년노동자가 쓰러져 생명을 잃었는데 사고 전날에는 폭염 속에서 10시간 동안 4만 3000보, 26km를 걸었다"고 사고 소식을 열거하면서 안타까운 심정을 녹여냈다.
김 지사는 아울러 "서현동 묻지마 흉기 난동,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태풍 등 다른 이슈에 가려진 채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며 "2022년 고용노동부의 공식 통계를 보면 일터에서 사고나 질병으로 2223명이 소중한 생명을 잃었는데 이는 세계 10위권에 오르는 경제대국이 됐지만, 산업재해에 대해서 우리나라는 한참 뒤처져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특히 "플랫폼 노동 등 이전과 다른 형태의 노동이 늘어나면서 새롭고 다양한 유형의 산업재해도 발생하고 있다"며 "산업재해의 뿌리는 사람의 ‘생명과 안전’보다 ‘수익과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문화에서 비롯됐으며 먹고 사는 것이 지상과제였던 개발연대의 일그러진 유산"이라고 단언했다.
김 지는 그러면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기업들이 사업주 처벌 방어를 위한 로펌 선임비용만 늘렸을 뿐 정작 산재를 예방하기 위한 예산은 얼마나 늘렸는지 모를 일"이라며 "생명을 존중하는 문화를 우리 기업, 대한민국 사회의 경쟁력으로 삼아야 한다. 조금 늦고 돈이 더 들더라도 안전하고 꼼꼼하게 일하는 사람들을 챙기는 기업이 더 많은 이윤을 내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끝으로 "기업과 노동자, 지자체와 일반 시민들 모두 나서 제도와 문화, 오랜 관습을 바꿔야 한다"면서 "생명보다 값지고 급한 것이 없으므로 더 미룰 수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